韓 석탄발전량 세계 9위...2050년에 퇴출? "폐쇄일 앞당겨야"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2-24 17:10:11
  • -
  • +
  • 인쇄
CREA, 한국 석탄감축 목표 '부적절' 평가
전세계 석탄발전소 79%가 파리협정 위반


전세계 석탄화력 발전소의 79%가 파리기후협정 위반으로, 2030년까지 이를 폐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핀란드 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1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이 합의한 석탄화력발전의 단계적 감축 계획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참사를 막기에 한참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CREA는 전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인 것은 분명하지만,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국이 합의한 대로 2050년까지 기온상승을 1.5℃ 이내로 억제하기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석탄은 가장 탄소집약적인 화석연료이다. 2019년 기준 석탄화력발전은 전세계 에너지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를 차지했다. 따라서 전세계 평균 기온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유지하려면 석탄화력발전의 퇴출은 필수적이다. 게다가 석탄화력발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2018년 석탄의 연소로 유해물질이 배출되면서 870만명의 조기 사망자가 발생했다.

현재 전세계 석탄화력발전소 전력 생산량은 총 2068GW이다. 이 가운데 COP26을 통해 '1.5℃ 목표'에 부합하는 기준으로 2030년 이전 퇴출이 결정된 석탄화력발전소의 전력 생산량은 351GW 규모다. 하지만 전체의 79%인 1628GW에 해당하는 발전소들의 경우 단계적 폐지가 예정돼 있지만, '1.5℃ 목표'를 이루기에는 예정일이 너무 오래 남은 상황이다. 나머지 89GW를 생산하는 석탄발전소들은 폐지 예정일조차 정해지지 않았다.

석탄화력발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이다. 인도,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3개 국가는 전세계 석탄화력발전량의 75%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 국가들이 운영중인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2030년 이전 폐지 예정인 발전소는 6%에 불과하다. 현재 새로 건설중인 석탄화력발전소 발전량 규모는 185GW, 또 추후 건설이 예정돼있는 발전소의 발전량은 309GW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전세계 석탄화력발전량 9위 국가다. 게다가 석탄화력발전소 퇴출 예정 연도는 2050년으로 '1.5℃ 목표'에 부합하지도 않고, 신규 석탄화력발전소를 계획하고 있어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폴란드, 독일과 더불어 '부적절한 목표'를 가진 국가로 분류됐다. 다만 독일의 경우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없고, 당초 2038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퇴출하려던 것을 2030년으로 당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석탄화력발전량이 가장 많은 10대 국가는 △중국 △인도 △미국 △일본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독일 △인도네시아 △한국 △폴란드 순이다. 영국 환경전문가집단 E3G의 레오 로버츠(Leo Roberts) 연구 책임자는 영국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부유한 국가들이 자국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함께 저소득 국가들의 전환을 도와야 할 책임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10대 국가별 석탄화력발전소 현황 (자료=CREA) <2021년 7월 기준>
국가 석탄화력발전량(GW) 목표연도 (회색: 신규 발전소 계획중 / 녹색: 신규 발전소 계획 없음) 
중국 1046.9 2060
인도 233.1 2070
미국 232.8 2035
일본 49.5 2050
러시아 43.1 2050
남아프리카 공화국 42.6 2050
독일 41.7 2038
인도네시아 36.7 2056
한국 35.4 2050
폴란드 30.2 2049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KB국민은행, 2만3000여명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억' 돌파

KB국민은행이 비대면 대출받은 소상공인에게 보증료 및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KB소상공인 응원 프로젝트'의 지원금액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