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류권까지 올라가 세계 곳곳으로 확산
"미세플라스틱 관련 체계화된 연구 시급"
해양 등 물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플라스틱. 하지만 공기 중에도 해양과 마찬가지로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플라스틱의 공포가 더 심각하다는 결과로 추가 연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부산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실내외 18곳의 공기를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평균 농도가 실내는 1입방미터(㎥)당 0.4개, 실외는 0.1개로 나타났다. 특히 실내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더 작았다.
성분은 대부분 폴리에틸렌(PE) 입자다. 실내는 장난감과 포장재, 함성섬유 등에서 많이 배출됐고, 실외는 건축자재와 자동차, 음료수병 등에서 배출됐다.
앞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도 지난해 실내와 실외에 떠다니는 공기를 각각 포집해 20㎛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개수와 크기 분포, 종류 등을 분석한 바 있다. 연구결과,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1입방미터당 0.45~6.64개/㎥로 검출됐다.
실내공기에서는 1입방미터당 0.49~6.64(평균 3.02±1.77)개/㎥였고, 실외공기에서는 0.45~5.16(평균 1.96±1.65)개/㎥였다. 실외보다 실내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이 평균 1.5배 높았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 분포는 실내에서 20.1~6801.2마이크로미터(㎛), 실외에서 20.3~4497.4㎛로 다양했다. 20~100㎛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전체 입자 중 48%~96% 차지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 종류는 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기타 순이었다. PE와 PP 성분이 전체 미세플라스틱의 약 67%를 차지했다. 특히 실내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의 비율이 높았다. 또 실내에서 환기를 많이 할수록 미세플라스틱이 감소했다.
해외 연구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대류권에 떠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연구팀은 대류권인 해발 2877m의 공기를 채집해 미세플라스틱이 있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이 2017년 6~10월 매주 1만㎥의 공기를 채집해 분석한 결과 모든 공기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공기 중에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닌다는 것은, 사람들이 숨을 쉴 때마다 이를 흡수한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현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다. 이에 전문가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연구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부산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연구를 진행중인 최선화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는 "이번 연구도 초기 연구로 공기중에 미세플라스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의미 정도"라며 "다양한 환경에 따른 농도, 그리고 변화 정도 등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보다 체계화된 연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