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창으로 전기생산?...美스타트업, 태양광 유리패널 2024년 대량생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3 15:34:21
  • -
  • +
  • 인쇄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는 유리창문으로 활용가능
"자동차 창문이나 아이폰 액정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왼쪽은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유리패널이 설치된 건물외벽, 오른쪽은 실내에서 바라본 태양광 유리패널. (사진=유비쿼터스 에너지)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유리패널이 2~3년 내 미국에서 대중화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도심 빌딩숲이 태양광발전소로 탈바꿈하게 될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

미국 신소재 스타트업 유비쿼터스 에너지(Ubiquitous Energy·UE)는 지난 2012년 개발한 태양광 유리패널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Clear View Power Window)를 2024년초부터 대량생산할 채비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UE는 미국의 대표적인 창호기업 앤더슨과 협력하는 한편, 펀딩을 통해 3000만달러(약 356억7000만원)의 자금을 11일(현지시간) 확보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은 태양전지와 밀봉재, 백시트, 정션박스(전기배선을 모아놓는 박스) 등의 부품으로 구성돼 있어 투명한 유리창문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UE의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는 유기염료를 통해 포착된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전기로 변환하기 때문에 투명한 유리창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유기염료는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연구진이 개발한 것으로, 가시광선은 통과시키지만 적외선은 포착한다.

지난해 30억달러(약 3조5656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UE는 "기후변화에 대한 투자자와 소비자들의 인식이 크게 변화하면서 고가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상승세"라고 밝혔다. UE의 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인 마일즈 바(Miles Barr) 박사는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는 초고층 빌딩 창문에 적용될 수 있고, 자동차 유리나 아이폰 액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는 2가지 약점을 안고 있었다. 하나는 일반 건축물에 쓰이는 유리보다 30% 비싸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건물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에너지 효율이 일반 태양광 패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UE는 이번에 확보한 펀딩 자금으로 이같은 공정상 단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UE는 2050년까지 9300만m2 규모의 '클리어뷰 파워 윈도우'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우리나라도 투명 태양전지 개발에 힘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초고난도 기술개발을 지원해 미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 11일 '투명 태양전지 플랫폼 개발사업단'을 결성했다. 이 사업단은 향후 5년간 10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투명도 70%에 변환 효율 12%를 달성하기 위한 태양전지 소자개발에 도전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