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연방기관 6곳과 협업해 발표한 '해수면 상승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연안지대 해수면이 2050년까지 평균 25cm~3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920년~2020년까지 100년간 해수면 상승 기록과 비슷한 수치다.
보고서는 향후 100년 이상 미국의 모든 주와 영토에 대한 해수면 상승을 △조석계(밀물과 썰물에 의해 달라지는 바닷물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기구) △위성관측△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6차 평가보고서 등을 기반으로 세밀하게 측정해 예측했다.
예측결과, 미국은 2050년까지 폭풍이나 폭우가 없는 상황에서도 해안가 침수 빈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홍수로 인해 밀물과 썰물 그리고 폭풍해일의 높이가 상승해 내륙에 더 많이 도달하게 된다. 탄소배출을 억제해도 2100년에 이르면 해수면 수위가 최대 60cm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했다.
니콜 르뵈프(Nicole LeBoeuf) NOAA 국립해양서비스국장은 "2050년에 이르면 홍수가 현재보다 10배 이상 자주 발생할 것"이라며 "2년~5년 사이에 한번씩 발생했던 홍수가 매년 몇번씩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홍수의 위력도 점점 거세져, 2050년에는 시설을 파괴할 정도의 위력을 가진 홍수가 현재보다 5배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보고서는 탄소배출량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출량을 억제하지 못하면 2020년~2100년 사이 미국 해수면은 110cm~210cm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NOAA의 국립해양서비스의 해양학자이자 보고서의 저자인 윌리엄 스위트(William Sweet) 박사는 "전세계가 탄소배출 억제를 위해 신속하게 행동한다 해도 향후 30년간 해수면 상승 추세는 어느 정도 정해진 상태"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