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조개껍데기' 화장품·의약품용으로 재활용 가능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3 14:26:52
  • -
  • +
  • 인쇄
수산부산물 시행령 입법예고...7월21일 시행
수산가공업자, 껍데기 반드시 분리 배출해야
▲굴 껍데기 자원화시설 (사진=경상남도)


굴과 홍합, 꼬막, 바지락 등을 취급하는 수산물 가공업자들은 앞으로 해당 수산물에서 나오는 껍데기를 다른 폐기물과 섞이지 않도록 반드시 분리배출해야 한다. 분리배출된 이 껍데기들은 건축용 재료 외에 화장품, 의약품, 식품첨가물 원료로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부산물 재활용을 본격화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산부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수산부산물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령안을 마련해 오는 5월 3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입법예고가 끝나면 규제심사와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오는 7월 21일부터 시행된다.

지난해 7월 '수산부산물법'이 제정된 이후, 해양수산부는 어업인과 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 관련업계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산부산물 실태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산부산물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제정령안을 마련했다.

제정령안은 '수산부산물법'이 적용되는 수산부산물의 종류와 재활용 유형, 분리배출 의무자의 범위, 처리업의 허가요건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법에서 규정하는 수산부산물의 종류는 굴과 전복, 홍합, 꼬막, 바지락, 키조개에서 내용물 등을 제거한 껍데기로 규정했다. 현재 재활용되고 있는 품목들 위주로 담았지만, 앞으로 재활용 확대추이를 감안해 품목을 추가할 계획이다. 

수산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유형도 확대했다. 폐기물관리법에서는 수산부산물을 건축자재 원재료와 비료, 사료, 공유수면 매립지역의 성토재 등으로만 재활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수산부산물법'에서는 석회석 대체제, 화장품, 의약품 및 식품첨가물 원료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현대제철은 지난해 7월 적절한 처리방법이 없어 환경문제로 떠오른 패각(굴·조개 등의 껍데기)을 제철소 소결공정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수산부산물에 대한 분리배출 요건도 담겨있다. 수산부산물은 반드시 다른 폐기물과 분리 배출해야 하고, 이 분리배출 의무자는 '수산물가공업 시설 운영자'와 '수산부산물 분리 작업장 운영자'로 한정했다. 이들은 수산부산물의 염분제거 등을 위해 수산부산물 분리배출 의무자는 최대 180일, 수산부산물 처리업자는 최대 120일까지 보관할 수 있다. 폐기물관리법에서는 30일~120일까지만 보관 가능했다.

이외에도 제정령안에는 △수산부산물 처리업 허가방법 및 절차, △권리·의무의 승계 또는 휴업·폐업사실의 신고방식 △법령 위반시 허가취소·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의세부기준 △과징금 및 과태료의 부과기준 등의 내용도 담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