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컵의 배신'…뜨거운물 담았더니 '나노플라스틱' 5조개 용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7 13:46:44
  • -
  • +
  • 인쇄
美 국립표준기술원, 실험결과 공개
나일론 티백은 나노입자 35조개 검출
(사진=NIST)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음료를 부으면 1리터당 조단위의 '나노플라스틱' 조각이 녹아나온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크리스토퍼 장마이스터 연구원 주도 연구팀은 일회용 종이컵에 담긴 물의 온도가 100℃일 경우 실온(22℃)일 때 비해 나노플라스틱 검출량이 2배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마이스터 연구원은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지만 이때 용출된 나노플라스틱 조각이 세포벽을 뚫고 침투해 인체기능을 저해할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우려했다.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직경 5mm 이하의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면, 나노플라스틱은 1㎛보다 작고 대부분 표준 현미경으로도 보기 힘들다. 최근 연구는 폴리프로필렌(PP) 젖병과 나일론 플라스틱 티백과 같이 액체를 담거나 액체와 상호작용하는 일부 소비재 제품이 이같은 플라스틱 입자를 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수많은 미세입자 가운데 나노플라스틱을 가려내기 위해  실내 공기오염을 차단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초순수'(超純水, Ultra-pure water)를 사용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코팅된 일회용 종이컵(355㎖)을 초순수로 헹궈낸 뒤 300㎖의 초순수를 다시 채웠다. 2개의 비교군을 두고 한쪽에는 100℃의 초순수를 담은 일회용 컵, 다른 한쪽에는 실내온도와 같은 22℃의 초순수를 담은 일회용 종이컵을 비치했다.

연구팀은 100℃ 물을 담았던 일회용 종이컵이 69℃까지 식도록 20분간 방치했다. 이후 초순수는 미스트 형태로 뿌려져 건조됐고, 나노입자들을 부탄올 증기에 노출시켜 나노미터 크기에서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부풀렸다. 구조를 파악하기 쉬워진 나노플라스틱 입자들은 레이저 입자 계수기로 숫자가 측정됐고, 적외선(FT-IR) 분광계와 전자현미경으로 나노플라스틱 입자의 특성이 분석됐다.

분석 결과, 22℃의 물을 담은 일회용 종이컵에서는 1리터당 2조8000억개의 나노플라스틱 입자가, 100℃ 물을 담은 일회용 종이컵에서는 1리터당 5조1000억개의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온도에 따라 종이컵 내벽에 코팅된 LDPE 필름에서 녹아나오는 나노플라스틱 양이 2배 가까운 차이를 보인 것이다.

이밖에도 연구팀은 베이킹시트나 티백 등에 쓰이는 식품등급의 나일론 재질로 용기를 만들어 비슷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90℃의 초순수에 노출된 나일론 용기의 경우 나노플라스틱이 1리터당 35조개, 22℃의 경우 24조개의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일회용 종이컵에 비하면 약 7배나 높은 수치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기준에 따르면 식품등급 나일론은 25℃에서 질량의 1% 미만이 손실되면 안전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번 NIST 연구팀 실험결과 25℃는 0.1%, 90℃에서는 0.28%가 용출돼 기준보다 크게 낮았다.

다만 장마이스터 연구원은 "나일론에서 용출되는 플라스틱은 미흡하나마 안전기준이나 실험방식이라도 정립돼 있지만, 일회용 종이컵과 같은 소비재 제품에서 LDPE에서 용출되는 플라스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는 정립된 바가 없다"며 "이번 논문을 통해 새로운 실험방법이 정립될 수 있도록 동료 과학자들과 대중의 관심이 쏠렸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논문은 지난 20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협회(ACS)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