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매트리스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대형 생활폐기물이다. 워낙 부피가 커서 종량제 봉투에 담을 수 없기 때문에 5000원짜리 스티커를 부착해서 버려야 한다.
폐매트리스는 철제와 섬유 부산물로 분리해 폐기할 자재와 재활용할 자재를 분리해야 한다. 하지만 해체 인건비와 폐기물 처리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폐매트리스를 방치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많다.
이런 가운데 경상남도 통영시는 방치돼 있던 폐매트리스를 야외에서 소각하다가 발각됐다. 부산물을 일일이 해체하지 않고 철제만 남도록 매트리스를 통째로 태워버린 것이다.
이같은 사실이 밝혀지자, 경남 통영시의회는 23일 매트리스 불법 소각으로 논란을 빚은 통영시 환경자원화센터를 방문해 현장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시의회는 수거된 매트리스 처리 방법이 현실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관련 법규와 예산을 살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역 환경단체들도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은 "통영시가 명정동 소재 환경자원화센터 바깥에서 침대 매트리스를 다년간 불법으로 소각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시가 비용을 아끼고 손쉬운 처리를 위해 폐기물관리법을 어겨가며 야외에서 소각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통영시의 매트리스 소각은 단지 불법에만 그치지 않는다"며 "더 큰 문제는 매트리스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발암·유해 물질 배출"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시는 매트리스 소각 관련 불법 행위와 관리 소홀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면서 "재발 방지 대책과 함께 환경자원화센터 운영과 폐기물 관리 운영 전반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영시는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공공 근로자 5명을 투입해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생활폐기물 처리작업을 맡겼다.
문제가 불거지자 통영시는 불법 소각이 이뤄진 경위와 구체적인 피해 사실을 조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작업자들이 적은 인력으로 해체 수작업을 하기 쉽지 않아 소각 처리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하반기에는 작업 인력을 증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