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AI·로봇·초연결...MWC '미래를 엿보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3 17:18:13
  • -
  • +
  • 인쇄
전세계 2000여개 기업 참가...中 IT기업 위용 드러내
韓대기업 첨단기술 전시...중견·중소도 120여곳 참가
▲촬영=김그린, 제작=조인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4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2일(현지시간) 폐막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주최로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 전시장에서 열린 올해 MWC는 11만㎡ 규모 전시장에 200여개국에서 2000개 이상 업체·기관이 참가한 가운데 '5세대(5G) 가속화, 실재감, 핀테크, 오픈넷(네트워크 개방성), 모든 것의 디지털화(Digital Everything)'를 주제로 열렸다. 관람객들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약 8만명이 찾은 것으로 추산됐다.

모두 8개인 전시홀에 글로벌 통신사 오렌지, 버라이즌, NTT 도코모와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네트워크 장비사는 물론 액센추어, JP모건, 에어버스 등 비(非) IT기업들도 전시관을 마련했다.

◇ 韓 130여곳 참가···AI·로봇·신기술 전시

국내 기업들도 대거 참가했다. 최근 개인정보 유출건으로 전시관을 마련하지 않은 LG유플러스를 제외한 SK텔레콤과 KT가 대형 전시관을 마련해 관람객들을 맞았고, 삼성전자도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S23'을 전시하는 한편 네트워크 신기술을 선보였다. 중소·중견 기업 60곳, 스타트업 65곳 등도 전시관을 마련하고 신기술을 소개했다.

SK텔레콤은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피라 그란 비아 제3홀에 전시관을 마련하고, A.(에이닷), 사피온 등 AI를 비롯해 도심항공교통(UAM), 인포테인먼트 로봇 등을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하고 즐기도록 했다. 특히 오래된 정보를 기억해 대화에 활용하는 '장기기억' 기술과 텍스트 뿐만 아니라 사진과 음성 등 복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이 처음으로 A.(에이닷)을 통해 공개돼 주목 받았다.

또 SK텔레콤과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한 세계적인 UAM 기체 선도기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의 기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실물 사이즈의 UAM 모형 기체와 가상 체험 시뮬레이터를 결합한 체험공간은 2시간이 넘는 대기시간에도 불구하고 긴 줄을 서서라도 보겠다는 방문자들로 북적였다. 또 SK텔레콤은 이번 전시회에 AI 컴퍼니 전환에 협력 중인 코난테크놀로지, 몰로코, 베스핀글로벌, 스윗, 팬텀 AI 등 파트너사들과 함께했다.

KT는 초거대 AI '믿음'을 소개하고 KT와 AI 풀스택 전략을 함께 추진 중인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제작 기술과 '모레'의 AI 인프라 솔루션을 선보였다. 또 AI 기반 물류 솔루션 '리스포'(LIS'FO)와 '리스코'(LIS'CO)를 시연하는 한편 로봇 플랫폼인 '로봇 메이커스'와 냉·보온 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 배송 로봇을 선보였다. 

로봇 메이커스는 서로 다른 기종 로봇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출입문, 주문·결제 애플리케이션, 인터폰, 저온 유통체계(콜드체인) 등 로봇 이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하는 클라우드 기반 로봇 관제 플랫폼이다. KT는 배송로봇에 세계 최초로 내부 온·습도 조절 기능이 장착됐으며, 습도조절 기능을 활용하면 감자튀김을 배송할 때 약 20분동안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T가 개발한 방역 로봇은 전시장을 부지런히 다니며 공기와 바닥의 바이러스를 살균했다.

삼성전자는 1745 m(약 528평)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지난달 17일 공개한 '갤럭시S23' 시리즈를 전시했다. 관람객이 갤럭시S23 울트라의 2억화소 카메라와 밤에도 밝게 촬영할 수 있는 나이토그래피 기능을 실감할 수 있도록 '우주공간'과 '서울의 밤'을 모티브로 한 영화 세트장처럼 꾸며진 스튜디오를 전시장에 마련했다.

갤럭시23과 함께 공개된 프리미엄 노트북 '갤럭시 북3 울트라'도 함께 전시했다. 또 스마트폰과 스마트 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을 연결하는 스마트싱스, 삼성페이 등 갤럭시 생태계 전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글로벌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5G 네트워크 기술을 선보였다.

◇ 화웨이 등 中 IT기업들 대거 등판

중국 IT기업들이 대거 참가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화웨이, 샤오미, 오포, 아너, ZTE 등은 다른 기업들의 부스를 규모 면에서 압도하는 대형 전시관을 차리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로봇, 확장현실(XR) 기기, 네트워크 인프라 등을 공개했다.

특히 이번 행사의 최대 후원사인 화웨이는 삼성전자 전시장의 5배에 달하는 9000㎡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50' 시리즈를 비롯해 워치 버즈, 워치 GT 사이버 등의 신제품을 전시했다.

샤오미는 독일회사 라이카와 제휴해 카메라 성능을 끌어올린 플래그십 스마트폰 '샤오미13'을 공개했다. 빛이 없을 때도 선명하게 찍을 수 있다는 이 제품의 최상위 기종 가격은 180만원이다. 샤오미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디지털 킥보드, 휴머노이드 로봇, 로봇 개 등도 선보이며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로봇 개는 사람이 배 부분을 간지럽히자 드러누워 간지럼을 타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도 했다.

ZTE는 실감현실(XR)기기의 단점으로 꼽히는 유선 연결을 해결한 무선 증강현실(AR) 글라스 '누비아 네오비전'을 선보였다. 안경다리 부분에 내장된 배터리로 무선작동이 가능한 AR 글라스로 렌즈 너머의 사물이 보인다는 점에서 증강현실적인 특징을 가지지만 렌즈 내부 스크린에 가상현실(VR)이 뜬다는 점에서 혼합현실(MR) 기기에 더 가까워 보였다.

한편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MWC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활동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엑스포 유치활동을 위해 스페인과 포르투칼, 덴마크 등을 방문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텔레콤 부스를 둘러본 뒤 기자들과 만나 "디지털 기술로 환경 문제 등 인류가 처해 있는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가 부산 엑스포의 중요한 테마"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대형스크린에 부산엑스포 홍보영상을 상영하는가 하면,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부산의 강점을 영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