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AI·로봇·초연결...MWC '미래를 엿보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3 17:18:13
  • -
  • +
  • 인쇄
전세계 2000여개 기업 참가...中 IT기업 위용 드러내
韓대기업 첨단기술 전시...중견·중소도 120여곳 참가
▲촬영=김그린, 제작=조인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이 4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2일(현지시간) 폐막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주최로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 전시장에서 열린 올해 MWC는 11만㎡ 규모 전시장에 200여개국에서 2000개 이상 업체·기관이 참가한 가운데 '5세대(5G) 가속화, 실재감, 핀테크, 오픈넷(네트워크 개방성), 모든 것의 디지털화(Digital Everything)'를 주제로 열렸다. 관람객들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약 8만명이 찾은 것으로 추산됐다.

모두 8개인 전시홀에 글로벌 통신사 오렌지, 버라이즌, NTT 도코모와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등 네트워크 장비사는 물론 액센추어, JP모건, 에어버스 등 비(非) IT기업들도 전시관을 마련했다.

◇ 韓 130여곳 참가···AI·로봇·신기술 전시

국내 기업들도 대거 참가했다. 최근 개인정보 유출건으로 전시관을 마련하지 않은 LG유플러스를 제외한 SK텔레콤과 KT가 대형 전시관을 마련해 관람객들을 맞았고, 삼성전자도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S23'을 전시하는 한편 네트워크 신기술을 선보였다. 중소·중견 기업 60곳, 스타트업 65곳 등도 전시관을 마련하고 신기술을 소개했다.

SK텔레콤은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피라 그란 비아 제3홀에 전시관을 마련하고, A.(에이닷), 사피온 등 AI를 비롯해 도심항공교통(UAM), 인포테인먼트 로봇 등을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하고 즐기도록 했다. 특히 오래된 정보를 기억해 대화에 활용하는 '장기기억' 기술과 텍스트 뿐만 아니라 사진과 음성 등 복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이 처음으로 A.(에이닷)을 통해 공개돼 주목 받았다.

또 SK텔레콤과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한 세계적인 UAM 기체 선도기업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의 기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실물 사이즈의 UAM 모형 기체와 가상 체험 시뮬레이터를 결합한 체험공간은 2시간이 넘는 대기시간에도 불구하고 긴 줄을 서서라도 보겠다는 방문자들로 북적였다. 또 SK텔레콤은 이번 전시회에 AI 컴퍼니 전환에 협력 중인 코난테크놀로지, 몰로코, 베스핀글로벌, 스윗, 팬텀 AI 등 파트너사들과 함께했다.

KT는 초거대 AI '믿음'을 소개하고 KT와 AI 풀스택 전략을 함께 추진 중인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제작 기술과 '모레'의 AI 인프라 솔루션을 선보였다. 또 AI 기반 물류 솔루션 '리스포'(LIS'FO)와 '리스코'(LIS'CO)를 시연하는 한편 로봇 플랫폼인 '로봇 메이커스'와 냉·보온 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 배송 로봇을 선보였다. 

로봇 메이커스는 서로 다른 기종 로봇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출입문, 주문·결제 애플리케이션, 인터폰, 저온 유통체계(콜드체인) 등 로봇 이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하는 클라우드 기반 로봇 관제 플랫폼이다. KT는 배송로봇에 세계 최초로 내부 온·습도 조절 기능이 장착됐으며, 습도조절 기능을 활용하면 감자튀김을 배송할 때 약 20분동안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T가 개발한 방역 로봇은 전시장을 부지런히 다니며 공기와 바닥의 바이러스를 살균했다.

삼성전자는 1745 m(약 528평)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지난달 17일 공개한 '갤럭시S23' 시리즈를 전시했다. 관람객이 갤럭시S23 울트라의 2억화소 카메라와 밤에도 밝게 촬영할 수 있는 나이토그래피 기능을 실감할 수 있도록 '우주공간'과 '서울의 밤'을 모티브로 한 영화 세트장처럼 꾸며진 스튜디오를 전시장에 마련했다.

갤럭시23과 함께 공개된 프리미엄 노트북 '갤럭시 북3 울트라'도 함께 전시했다. 또 스마트폰과 스마트 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을 연결하는 스마트싱스, 삼성페이 등 갤럭시 생태계 전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글로벌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5G 네트워크 기술을 선보였다.

◇ 화웨이 등 中 IT기업들 대거 등판

중국 IT기업들이 대거 참가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화웨이, 샤오미, 오포, 아너, ZTE 등은 다른 기업들의 부스를 규모 면에서 압도하는 대형 전시관을 차리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로봇, 확장현실(XR) 기기, 네트워크 인프라 등을 공개했다.

특히 이번 행사의 최대 후원사인 화웨이는 삼성전자 전시장의 5배에 달하는 9000㎡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50' 시리즈를 비롯해 워치 버즈, 워치 GT 사이버 등의 신제품을 전시했다.

샤오미는 독일회사 라이카와 제휴해 카메라 성능을 끌어올린 플래그십 스마트폰 '샤오미13'을 공개했다. 빛이 없을 때도 선명하게 찍을 수 있다는 이 제품의 최상위 기종 가격은 180만원이다. 샤오미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디지털 킥보드, 휴머노이드 로봇, 로봇 개 등도 선보이며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로봇 개는 사람이 배 부분을 간지럽히자 드러누워 간지럼을 타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도 했다.

ZTE는 실감현실(XR)기기의 단점으로 꼽히는 유선 연결을 해결한 무선 증강현실(AR) 글라스 '누비아 네오비전'을 선보였다. 안경다리 부분에 내장된 배터리로 무선작동이 가능한 AR 글라스로 렌즈 너머의 사물이 보인다는 점에서 증강현실적인 특징을 가지지만 렌즈 내부 스크린에 가상현실(VR)이 뜬다는 점에서 혼합현실(MR) 기기에 더 가까워 보였다.

한편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MWC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활동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엑스포 유치활동을 위해 스페인과 포르투칼, 덴마크 등을 방문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텔레콤 부스를 둘러본 뒤 기자들과 만나 "디지털 기술로 환경 문제 등 인류가 처해 있는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가 부산 엑스포의 중요한 테마"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대형스크린에 부산엑스포 홍보영상을 상영하는가 하면,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부산의 강점을 영상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