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쓰레기섬에서 발견된 해안생물들 "플라스틱 쓰레기 따라 이동"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8 14:26:27
  • -
  • +
  • 인쇄
▲북태평양 아열대 환류에서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 (사진=The Ocean Cleanup)

육지·해안 부근에만 서식하던 무척추 해양생물이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타고 먼 바다로 서식 영역을 넓히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마노아 하와이대학과 '스미스소니언 환경연구센터'(SERC) 연구진은 수백만 년간 유지되던 해양생태계의 생물지리적 경계가 플라스틱 부유물로 인해 급속히 바뀌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부유물을 타고 떠도는 '신원양생물군'을 파악하고자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북태평 아열대 환류 동부수역에 떠다니는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GPGP)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해 조사했다.

그 결과 플라스틱 쓰레기 시료 105개 중 70.5%에서 해안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발견됐다. 확인된 무척추생물 484종의 80%가 육지 인근 바다에서 발견되는 해안생물이었다.

일부 부유물에서는 바다 한가운데임에도 불구하고 원양(遠洋)종보다 해안종이 더 많이 조사됐다. 절지동물이나 연체동물과 같은 해안 서식종의 수는 원양종의 세 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성은 로프가 가장 높았으며, 해안생물의 밀도는 그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히드로충을 포함한 해안종과 원양종 모두 플라스틱 부유물에 붙어 번식하는 점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해안생물이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에서 번식하고 성장하며 이전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시사했다.

▲해안종인 히드로충과 원양종인 거위목따개비가 플라스틱 쓰레기에 함께 붙어있다.(사진=The Ocean Cleanup)

해안종을 비롯한 일부 해양생물이 플라스틱 부유물에 서식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대양에 군집을 형성할 정도로 퍼져있다는 사실이 나타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뗏목을 비롯한 자연부유물은 시간이 흐르면 분해돼 사라지지만 플라스틱은 분해속도가 느려 생물에게는 거의 영구적인 서식처나 다름없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급속한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한 이해·지식 격차를 드러낸다며 공해상의 물리적, 생물학적 관측 시스템을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생태와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