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바다 30% 보호구역 지정...유엔 '글로벌 해양조약' 체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6 10:35:33
  • -
  • +
  • 인쇄
무분별한 어업과 채굴로 해양 파괴 심각
전세계 기후·생물다양성 위기 공동대응


각국의 영해를 넘어선 해역에서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전세계 공해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합의했다.

외교부와 해양수산부는 '공해(公海) 및 심해저 등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생물다양성(BBNJ) 보전 및 지속가능이용을 위한 협정안'이 예정 시한을 하루 넘긴 지난 4일 오후 9시30분(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체결됐다고 5일 밝혔다.

협약의 공식 문구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2030년까지 전세계 공해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인간활동을 제한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을 골자로 담고 있다. 이번 협정에 따라 각 국은 공해와 심해저의 해양보호구역(MPA) 등 보존·보호구역을 정하기로 했다. 또 공해와 심해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동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공해와 심해저에서 채취한 해양 유전자원과 이 유전자원에서 얻은 디지털 염기서열정보(DSI)는 이용내역을 공유하고, 상업적으로 이용할 때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체계도 마련된다. 공정성 차원에서 선진국이 해양자원에서 파생되는 금전적·비금전적 이익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고, 기술이전 등을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바다는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3분의 1가량을 흡수하는 '탄소저장소'로, 지구의 탄소순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세계 바다의 64%를 차지하는 공해에서 해양보호구역은 고작 2%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공해에서 어업이나 채굴 등 무분별한 해양 파괴행위가 횡행했다.

이번 BBNJ 협정으로 공해에도 해양보호구역을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면서 지난해 12월 캐나다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바다를 포함한 지구 전체 면적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합의한 것에 대해서도 실현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이로써 공해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체계가 처음으로 생겼다. 1982년 유엔 해양법협약의 3번째 이행협정으로 1994년 심해저협정, 1995년 공해어업협정에 이어 약 30년만에 마련된 것이다. 이번 잠정 협정안 성안은 2004년 개방형 실무작업반 설치를 시작으로 약 20년간 이어져 온 논의의 결과다.

협정 제정 과정에서 각국은 해양생태계 악화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공감했으나 이를 시정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에 대해서는 의견차를 보였다.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 중심의 해양유전자원 상업화에 따른 이익공유를 주장하면서 공해 질서에 대한 국제적 규제를 더 강화하고자 했다. 반면 선진국들은 가급적 기존 유엔 해양법협약의 틀을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이행이 용이한 내용을 담아내고자 했다.

특히 해양유전자원의 금전적 이득에 대한 공정한 공유가 최대 쟁점이 되면서 회의 마지막까지 합의에 난항을 거듭했다. 이 때문에 3월 3일 종료 예정이었던 회의는 하루를 넘겨 4일까지 마라톤 연장 협상을 이어갔다. 하지만 회의에 참여한 많은 국가들은 지역적인 차이를 뛰어넘어 해양보호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뜻을 모았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협정을 두고 환경보전의 역사적인 날이라고 평가했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이번 글로벌 해양조약 체결은 기후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해양보호의 새로운 도약"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국은 공해에서 어업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국가이지만, 이번 비상회의에서 글로벌 해양조약 체결을 적극 지지하면서 기후위기 및 해양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이제 한국 정부가 글로벌 국가들과의 적극적인 협력과 관련 정책방안을 충실히 만들어 나가 해양조약체결이 실제 공해바다의 해양보호구역을 확대하는 발판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잔반 없으면 탄소포인트 지급"...현대그린푸드, 단체급식에 '잔반제로' 보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신설된 '잔반제로' 항목을 단체급식업계 최초로 실제 단체급식 사업장에

"노사 칸막이 없는 문화"…LG CNS '노사문화 우수기업'에 선정

AX전문기업 LG CNS가 상호 존중과 대화, 협력을 바탕으로 한 모범적 노사문화를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

KB국민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도움드림창구' 운영한다

KB국민은행이 금융취약계층을 위해 '도움드림창구'를 새롭게 운영한다.KB국민은행은 65세 이상 고령자와 장애인은 물론 7세 이하 자녀를 동반한 보호자

기아, 오토랜드화성 사업장에 PPA 재생에너지 첫 도입

기아가 국내 사업장 중 처음으로 오토랜드화성에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재생에너지 전력은 지난 2월 한국남동발전과 체결한

탄소중립 핵심목표 미루더니...英 HSBC도 '넷제로연합' 탈퇴

영국계 글로벌 금융사 HSBC가 은행권의 기후목표 연합체인 '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한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국 대형은행들의 잇

[친환경 기업] 샴푸바의 시작 '러쉬'..."환경파괴해 수확한 원료 안쓰죠"

"러쉬의 모든 활동은 브랜드가 옳다고 믿는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이다."러쉬코리아의 박원정 윤리이사(에틱스 디렉터)의 말이다. 에틱스 디렉터는 세

기후/환경

+

100년에 한번 '물폭탄'...1시간에 114.9㎜ 퍼부은 서산 '물바다'

남쪽에서 올라오는 수증기와 북쪽에서 내려오는 건조한 공기가 부딪히면서 현재 한반도 상공은 구멍이 뚫린 듯 폭우가 퍼붓고 있다. 특히 충청권의 피

[날씨] 구멍 뚫린 하늘...남부지역 300㎜까지 '물폭탄'

하늘에 구멍이 뚫린 것처럼 퍼붓고 있는 폭우가 18~19일까지 이어진다는 예보다.이번 호우는 좁은 지역에 강하게 내리는 국지성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

플라스틱 국제협약 20일 남았는데...플뿌리연대 '생산감축' 촉구

국제 플라스틱 협약 최종 협상이 8월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외 1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플뿌리연대'는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지구가 말라가고 있다...전세계 곳곳 최악의 '가뭄' 현상

전세계 곳곳에서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 최근 서부 유럽과 멕시코에서 가뭄과 폭염으로 물부족에 시달린 데 이어 영국과 레바논에서도 가뭄이 마치

베트남 하노이 '극약처방'...내년부터 560만대 내연 오토바이 퇴출

하루 50만대에 달하는 오토바이가 이동하는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가 내년부터 화석연료를 쓰는 오토바이와 모터 자전거를 퇴출한다.15일(현지시간) 베

올 상반기 中 자연재해로 10조원 경제손실..."7말8초 홍수 위험"

중국은 올 상반기동안 자연재해로 2500만명이 피해를 입고 주택 3만여채가 완전히 붕괴되면서 약 541억1000만위안(약 10조원)이 넘는 경제손실이 발생했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