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재무공시도 제도지침 마련해야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50개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비재무공시가 국제 평가기준에 비춰봤을 때 38점으로 '낙제' 수준으로 나왔다.
18일 국회에 열린 '기업의 탄소중립을 위한 비재무공시 현황과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녹색전환연구소 배보람 연구원은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의 비재무공시 평균점수가 38점에 그쳐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의 비재무 공시의 구체성이 낮다"며 "현재까지도 탄소중립이 기업의 경영목표로 내재화 되지 않거나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분석이 지나치게 개괄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ESG포럼 대표)과 정의당 장혜영 의원,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녹색전환연구소,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주최로 열렸다.
배보람 연구원은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에 따라 녹색전환연구소가 수립한 세부지표를 통해 △기후정보접근성 △지표 및 감축목표 △전략 △위험관리 △지배구조 등 5개 부문에서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50개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공시 현황을 평가했다.
TCFD는 기후위기가 금융과 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부실을 초래해 금융위기 발생가능성을 높인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주요 20개국(G20)가 금융안정위원회(FSB)에 의뢰해 설립된 협의체다. 기후변화 관련 위험을 다른 재무위험과 동일 선상에 놓고,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정보공개 투명성 촉구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TCFD에 대해 지난 2022년 11월 기준 전세계 101개국 4000개 이상 기업과 기관이 지지선언을 밝혔다.
50개 기업에 대한 기후변화 공시현황에 대한 평가결과, 지난달 15일 기준 일반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개한 기업은 32개 기업에 불과했다. 'TCFD 별도 보고서'를 발간한 곳은 SK하이닉스 단 1곳뿐이다. 계열사 통합으로 보고돼 개별기업의 특징을 확인할 수 없는 4개 기업, 지속가능보고서가 확인되지 않은 14개 기업은 평가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공개된 32개 기업마저 38점에 그쳐 탄소중립 대한 의지 자체가 의심스러운 상황이라는 게 배 연구원의 설명이다. △제철 △정유 △석유화학 △시멘트 △전자전기 △발전업 6대 업종 가운데 시멘트업이 20.6점으로 모든 지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고, 석유화학은 53.5점으로 가장 높았다.
시멘트 업종의 경우 2021년 기준 배출상위 50개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약 14.6%를 차지했다. 업계 전반에 걸쳐 비재무공시 부실이 두드러졌고, 주택시장 침체, 원자재인 유연탄, 전기요금 상승 등으로 위험요인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기준 50대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7.4% 차지한 석유화학 업종은 비재무공시의 기본적인 틀은 갖췄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재무영향을 다루기 위한 비재무공시의 고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배 연구원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미발간 혹은 접근의 어려움은 기업 환경경영의 가장 기초적 정보가 이해당사자들에게 공개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며 "실질적인 환경영향을 고려해 환경정보가 공개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패널로 참여한 은기환 한화그린히어로펀드 매니저는 "기업의 비재무공시가 실질적인 투자정보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주주의 이해관계와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전지구의 이해를 일치시키고, 온실가스 감축을 중심에 두도록 기후위기의 재무적 영향이 탄소가격으로 정량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는 "향후 5년 이내 탄소시장이 빠르게 발전하는 과정에서 고탄소산업의 부도율과 주가하락이 예측됨에 따라 비재무공시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정보공개 방식이 체계화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