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미생물로 친환경 나일론 개발..."세계 최고 효율"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8-10 09:33:20
  • -
  • +
  • 인쇄
탄소원으로 석유 대신 포도당
기존 대비 6.17배 높은 농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좌)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한태희 박사 (사진=KAIST)

국내 연구팀이 친환경 나일론을 세계 최고 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한태희 박사는 나일론의 단량체인 발레로락탐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존보다 농도가 6.17배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발레로락탐'은 나일론-5와 나일론 6,5의 중요한 단량체다. 나일론-5는 탄소 5개짜리 고분자, 나일론 6,5는 탄소 6개와 5개짜리 단량체로 이뤄진 고분자다. 우수한 가공성과 가볍고 질긴 특성으로 의류뿐 아니라 배드민턴 라켓줄, 어망, 텐트, 기어 부품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석유화학 기반 발레로락탐은 극한 반응조건과 유해 폐기물 생성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발레로락탐을 친환경적이고 고효율로 생산하기 위해 미생물 세포 공장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상훈 특훈교수는 미생물 개발 핵심 전략으로 이같은 분야를 다루는 '시스템 대사공학'을 창시했다.

시스템 대사공학은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이다. 이 교수팀은 지난 2017년 대장균을 대사공학적으로 개량해 발레로락탐을 세계 최초로 생산했지만, 농도가 저조하고 부산물이 많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대장균 대신 세균의 일종인 코리네박테리움을 사용했다. 그 결과, 주요 부산물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제거하고 부차적인 부산물을 발라로락탐으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발레로락탐의 농도도 세계 최고 수준인 76.1g/L에 달했다. 이는 기존보다 6.17배 높은 수치다.

단량체 구성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바이오매스인 포도당을 사용한다. 석유화학 기반도 아니고, 효율도 높아 친환경적이다. 한태희 박사는 "미생물을 기반으로 나일론의 단량체인 락탐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이번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기반의 바이오 고분자 산업이 석유화학 기반의 화학산업을 대체하는 데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대사공학지'(Metabolic Engineering) 7월 12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온난화로 빙하 녹으면서…전세계 화산 폭발 더 격렬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그 영향으로 전세계 화산 폭발이 더 빈번하고 규모도 커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

전세계 덮친 가뭄 '지구적 재앙'…강원 동해안도 생활·농업용수 위기

전세계가 폭염뿐 아니라 가뭄의 습격도 받고 있다. 지구 곳곳에서는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면서 물부족 사태를 겪고 있고, 우리나라 강원도 동해안의

폭염에 카디건·셔츠 매출 '쑥'...이상기후에 뜨는 '시즌리스 상품'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백화점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장마철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던 레인부츠와 방수재킷 대신 실내 냉방 환경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