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과학자들 유럽으로 탈출 러시...'과학 난민' 더 늘어날까?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4 10:07:46
  • -
  • +
  • 인쇄

전세계에서 연구자들이 몰려들었던 미국에서 이제 과학자들이 탈출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벌어지는 현상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공공기관의 연구예산을 삭감한 것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다. 

8명이 선발된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학의 '과학을 위한 안전지대(Safe Place for Science)' 프로그램에 298명의 미국 주요 대학 연구자들이 지원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트럼프 정부 아래에서는 더이상 자유로운 연구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연구자들이 새로운 학문적 피난처를 구하기 위해 이 이 프로그램에 대거 몰려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명문대학인 스탠퍼드대와 예일대 연구자들도 다수 이 프로그램에 지원했다고 엑스마르세유대학은 밝혔다. 엑스마르세유대학의 에릭베르통 총장은 "이같은 지원자 수는 미국 상황이 그만큼 긴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원자들의 다수는 본국 소속 대학과의 관계를 우려해 익명을 요구하고 있다. 한 기후과학자 제임스(가명)는 "우리가 일하는 분야가 겨냥당하고 있다"며 자신과 민주주의·사법제도 연구자인 아내가 이 프로그램에 지원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실명을 공개한 브라이언 샌드버그 노던일리노이대학 교수는 "미국의 연구와 교육 시스템 전체가 공격받고 있다"고 말했다.

엑스마르세유대학은 참가자들에게 프랑스 연구자와 동일한 임금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외국인 유치를 위해 재정이 집중된다는 프랑스 내 학계의 우려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베르통 총장은 "오늘 벌어지는 일은 역사 속 어두운 시기와 무관하지 않다"며, 나치 박해를 피해 망명했던 유럽 학자의 사례를 직접 언급했다.

사실 엑스마르세유대학의 이 프로그램은 미국 연구자들을 겨냥해 마련한 과학자 보호 프로그램이다. 엑스마르세유대학은 자체 예산 1500만유로를 들여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미국 연구자들이 몰려드는 것을 보고 연구자들을 더 유치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에 매칭 방식으로 예산을 지원해줄 것을 요청해둔 상태다. 엑스마르세유대학은 "정부 예산이 확보될 경우 채용 인원을 현재 20명에서 최대 39명으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참가자 다수는 자신을 '과학 난민'이라고 부르길 꺼려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연구 자유를 위한 피난에 가깝다. 한 연구자는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스트레스가 줄어들 것같다"고 말했다. 탈출은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구조적 현실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기후/환경

+

폭염에 산불까지...美서부 축구장 1만5400개 '잿더미'

불볕더위가 극심하던 미국 캘리포니아와 오리건주에서 발생하던 산불이 몇 일째 번지면서 축구장 1만5400개 면적에 달하는 1만1000헥타르(ha)가 잿더미로

"생수·햇반·컵라면으로 살아요"...강릉 시민들, 물 부족에 아우성

서쪽지역은 최대 100mm의 폭우가 예보돼 있지만 강원도 강릉은 극심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가 극에 달했다.지난 20일부터 계량기의 50%를 잠그는 제한

경기도, 퇴근길 폭우 대비 오후 6시 '비상1단계' 발령

퇴근길 폭우가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가 25일 오후 6시를 기해 '비상1단계'를 발령한다.경기도는 25일부터 26일 오전까지 경기 북부와 남동부 지역을 중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