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기저효과에 기인한 제한적 회복세 전망
2025년 국내 경제에 고성장에 다다른 중국은 단기 악재로, 글로벌 환경규제로 인해 환경은 장기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가장 타격을 받는 업종으로 석유화학부문이 꼽히고 있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18일 발간한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적으로는 '미중 갈등 심화',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가 국내 산업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석유화학 분야는 수요위축·고유가·공급과잉의 3중고로 2024년 혹독한 침체를 경험할 수 있다는 우려다.
국내 산업의 단기 악재로 꼽히는 중국은 시진핑 3기 출범 이후 공동부유(共同富裕), 국진민퇴(國進民退), 신사회주의(新社會主義) 등의 구호아래 국가 통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 부동산, 빅테크, 사교육 등 민간기업에 대한 규제는 강화되고 있고, 글로벌 공급망 분절화와 서방과의 갈등 등이 겹치면서 장기성장률이 팬데믹 이전(7.9%)의 절반 수준으로 꺾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중국이 성장둔화되면 그만큼 구매력이 약해지고 금융 변동성은 커진다. 이는 전세계 경제와 산업구조에 영향을 미치면서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에는 큰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석유화학과 해운의 악재가 가장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은 중국의 자체 생산역량 확충으로 국산제품의 수출 감소와 중국제품과 국산 제품간 역내 경쟁 심화로 2030년 수출량이 2010년 수준으로 후퇴할 것으로 전망됐다. 게다가 중국의 설비는 나프타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와 달리 원유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COTC(Crude Oil to Chemical) 공정이 적용돼 가격경쟁력 면에서 국산 제품에 앞설 수밖에 없다.
특히 석유화학 업계는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로 체질개선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 추세대로면 2040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은 산업화 이전대비 1.5℃를 넘어서게 된다. 이에 따른 기후변화 피해액은 2040년에는 GDP대비 1.2%, 2080년에는 3.4%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각국은 환경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주요국들은 탄소국경세,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탄소가격제 등을 도입하고 있고, 이밖에도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보고서는 국내 산업계가 넷제로를 달성하는 데 250조원~51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고, 환경문제 대응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도 매우 클 것으로 내다봤다.
일례로 국내 석유수요가 2025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우리나라 핵심산업 중 하나인 정유업계의 친환경 사업 전환과 같은 체질개선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업계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석유화학, 배터리, 수소, 재활용, 바이오플라스틱 등 친환경 사업에 무게를 두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본업인 정유업 비중은 2023년 77%에서 2035년에는 45%까지 축소될 전망이다.
반면 조선업계는 환경 이슈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그간 지지부진했던 탄소감축을 본격 실현하기 위해 지난 7월 2050년까지 탄소 감축목표를 기존 50%에서 100%로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LNG, 메탄올 추진선과 같은 친환경 선박의 수주 확대가 예상된다.
최근 3년간 수주실적을 기준으로 볼 때 국내 조선사의 친환경 선박 수주 비중은 50%를 상회하고 있고, 생산역량의 한계로 중국이 부수적인 수주를 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국내 조선업계의 중장기 체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국내 자동차 기업들도 충분한 전기차(EV) 상품성을 보유한 가운데 미국·인도 등의 진출에 걸림돌이 적다는 점, 비교적 양호한 재무투자 여력이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진입하기 어려운 대형시장에 적극 진출함으로써 유리한 입장에 설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끝으로 2024년 국내 산업의 전반적인 회복세가 기대되지만 이차전지, 자동차와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저효과에 기반한 회복을 보일 것이라는 점에서 드라마틱한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중국 이슈는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겠지만, 환경규제 강화는 단기적 영향은 미미한 반면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과 생존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국내 산업계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