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벌채 줄였더니 세라도 벌채 43% 급증...브라질 정부 '골머리'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6 12:00:14
  • -
  • +
  • 인쇄


브라질에서 생물다양성이 높은 열대우림으로 손꼽히는 세라도 생물권(Cerrado biome)의 산림벌채가 지난해만 43% 증가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라도 생물권은 브라질 영토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광활하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세라도 생물권은 다량의 탄소를 저장해서 기후변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브라질의 수자원을 모으고 분배하는 저수지 역할도 겸할 정도로 남미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그런 세라도가 무분별한 벌목으로 사라질 지경에 처했다. 벌목의 주된 목적은 농지개간이다. 지난 30년동안 대두와 면화 농업이 급성장하자, 이를 재배하기 위한 면적으로 계속 늘려왔던 것이다. 브라질 산림당국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세라도에서 파괴된 산림면적은 7800㎢가 넘었다. 이는 2022년보다 43% 증가한 수치다. 당국은 "지난해 11월에만 570㎢ 이상의 토지가 개간됐는데, 이는 전년 같은 달에 비해 3배나 넓은 면적"이라고 밝혔다.

세라도 생물권에서 대규모 벌채가 이뤄지면서, 현 브라질 정부의 환경보호정책 동력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현 브라질 대통령은 생태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고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브라질 벨렘에 유치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또 룰라 대통령은 "2030년까지 브라질의 산림벌채를 제로로 만들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룰라 대통령의 강력한 환경보호 정책으로 실제로 지난해 브라질 아마존 지역의 열대우림 산림벌채는 전년보다 50% 감소하는 등 일정 부분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그러나 세라도 생물권에서 대규모 벌채가 이뤄지면서 룰라 정부는 환경보호 정책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상황에 놓인 것이다.

이는 세라도와 아마존 열대우림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아마존의 경우 불법 벌목업자, 무허가 목장 등 주로 범죄자들을 중심으로 벌목이 이뤄졌다. 따라서 불법행위를 강력하게 단속하면 아마존 산림벌채는 빠르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세라도는 정식허가를 받은 농장주들이 벌채를 하기 때문에 규제가 쉽지 않다.

이에 아마존 환경연구소(Amazon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의 안드레 기마라에스(André Guimarães) 이사는 "세라도 지역은 합법적으로 벌채가 이뤄지고 있다"며 "따라서 법 집행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아마존과 달리, 세라도에서는 토지 소유주가 산림벌채 권리를 포기하도록 보조금을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라도 지역의 느슨한 환경규제도 발목을 잡고 있다. 아마존의 경우 토지소유주가 자신의 땅에 있는 식물의 80%를 유지해야 하고, 토지의 20%만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세라도는 토지 식생의 20%만 보존한다면 자유롭게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다. 이같은 느슨한 규제와 농사에 적합한 기후가 결합되면서 세라도 지역은 브라질의 곡창지대로 바뀌고 있다.

기후변화 캠페인단체인 마이티어스(Mighty Earth) 알렉스 위제라트나(Alex Wijeratna) 수석이사는 "룰라 대통령이 소고기와 대두 생산을 위해 세라도를 희생시킨 것은 그의 환경 정책에 큰 오점"이라며 "이를 시급히 되돌리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안드레 리마(André Lima) 브라질 환경부 산림벌채 관리담당은 "올해 세라도 파괴를 줄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면서도 "합법적으로 산림벌채가 이뤄지는 지역이서 통제하기가 훨씬 더 어렵고 처벌할 방법이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세라도 지역이 곡창지대가 되면서 해당 지역의 생태계도 크게 파괴됐다. 브라질 당국에 따르면, 세라도는 지난 20년동안 토종식물의 12%가 사라졌다. 더욱이 자연 식생을 농경지로 대체하면 증발산 과정을 약화시킬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토양에서 대기로 물이 증발하는 과정을 통칭하는 말이다. 과학자들은 "이는 강우량 감소로 이어져 물 부족 사태가 올 수 있다"고 짚었다. 

가브리엘 호프만(Gabriel Hofmann) 리오그란지두술 연방대학(Federal University of Rio Grande do Sul) 연구원은 "세라도에 물이 부족하면 브라질의 다른 지역의 물 공급과 수력발전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