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국제 식량공급망으로의 전환이 기후위기와 공공보건 개선에 기여할 뿐 아니라 연간 최대 10조달러(약 1경3306조원)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9일(현지시간) 식량시스템 경제위원회(FSEC)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하며 "기존 국제 식량망이 창출한 가치보다 환경 및 의료비용 등으로 인해 파괴한 가치가 더 많으며, 사실상 미래의 자원을 가져다 현재의 이익을 취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 저자 중 1명인 요한 락스트롬(Johan Rockström)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연구원은 "국제 식량공급망은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손에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FSEC는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 세계보건기구(WHO), 세계은행(World Bank) 등 주요 국제기구·기후 연구기관 소속 전문가들이 세계 식량 문제를 논의하고자 만든 연합체다.
FSEC 연구진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우선 기후변화, 보건, 영양, 천연자원을 포함한 '식량비용'을 15조달러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해 유엔식량농업기구(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가 2020년 잠재 농식품 비용이 10조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산한 것을 기반으로 했다. 이어 연구진은 '식량비용'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예측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
이 예측모델을 토대로 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 식량망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보고서는 "이로 인해 이번 세기말까지 2.7℃의 온난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식량불안은 의료시스템에도 부담을 준다. 현재의 식량공급 방식으로는 2050년까지 6억4000만명이 영양 불안에 시달릴 것이며,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은 70% 증가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 "지금의 식량망은 생물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이며 담수 고갈의 70%가 식품생산으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에 참여한 니콜라스 스턴(Nicholas Stern) 런던 정경대학 그랜덤 기후변화 및 환경연구소(Climate Change and the Environment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소장은 "오늘날 식량경제학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망가졌다"며 "소위 '식량비용'은 우리의 건강을 해치고 지구를 황폐화시키는 동시에 전세계적인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스턴은 "식량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하다"며 "이제는 급진적인 변화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FSEC는 "식량망을 재조정하는 것은 정치·금전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막대한 경제적, 복지적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FSEC는 식량망 전환에 드는 비용을 전세계 총생산(GDP)의 0.2%~0.4% 사이로 추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로드(Steven Lord) 옥스퍼드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환경변화연구소 박사는 "이 분석은 식량망 혁신에 따른 지역 및 국제경제 기회를 처음으로 수치화한 것"이라며 "물론 쉽지는 않지만 전세계적으로 볼 때 이러한 변화는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상당한 경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식량망 재조정의 방법으로 "비료, 살충제, 산림 벌채에 의존하는 대규모 단일 경작에서 벗어나 소규모 다품종으로 농업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야생동물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농장을 탄소흡수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소규모 농가에 재정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를 통해 식량 불안이 줄어들면 2050년까지 영양실조가 대폭 완화돼 조기 사망자수가 1억7400만명 감소하고 추가로 4억명의 농업 종사자가 충분한 수입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 이하로 제한하고 농업에서 발생하는 질소 유출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짚었다.
또한 FSEC는 식량공급망 개선에 이어 "채식위주 식단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FSEC는 "가령 브라질 소고기 산업과 이와 관련된 산림 벌채는 현재 일본의 모든 자동차, 공장, 에어컨, 전기기기 및 기타 배출원보다 더 큰 탄소발자국을 남기고 있다"며 채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락스트롬 연구원은 "숨겨진 건강 및 환경 비용이 육류 가격에 포함된다면 쇠고기와 대부분의 다른 육류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다만 전환에 따른 식량비용 상승은 아직도 과제로 남아있다. 현재의 대규모 농업이 식량가격을 낮춘 것은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락스트롬 연구원은 "각국은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중요하게 받아들여 사회의 빈곤층을 지원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휘발유 가격인상에 항의했던 노란조끼 시위와 같은 사회혼란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Christiana Figueres) 전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차장은 "이번 연구는 2040년까지 식량망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보여준다"며 "지구와 인류의 더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고자 하는 모든 정책 입안자가 참고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