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2050년까지 12.5조달러 경제손실 발생한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7 15:35:11
  • -
  • +
  • 인쇄
다포스포럼 보고서 통해 '기후위기 해결' 촉구
홍수와 폭염 등 극한기후로 불평등 더 심해져
▲보고서 표지(출처=세계경제포럼)


2050년까지 기후변화로 세계 인구 가운데 1450만명이 추가로 사망하고 12조5000억달러(약 1경6818조75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6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은 금융컨설팅 기업 올리버와이만(Oliver Wyman)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전세계 이해관계자들이 이에 대응하고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은 아직 남아있다"고 촉구했다.

이어 "기후변화가 인류건강과 세계경제, 전세계 의료시스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상세한 그림을 제공하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며 보고서 작성이유를 밝혔다. WEF는 "이 보고서는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2.5℃~2.9℃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해서 분석한 것"고 덧붙였다.

기후변화가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건체계 구축에만 2050년까지 1조1000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원인은 극한기후로 인한 보건위기와 불평등에서 비롯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홍수로 인해 2050년까지 85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홍수는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성이 높다"고 했다.

폭염과 가뭄으로 인한 사망자는 32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폭염은 특히 생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폭염으로 2050년까지 약 7조1000억달러에 이르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불어 연간 약 900만명에 이르는 사람이 대기오염으로 조기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등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도 커질 것으로 보았다.

▲2050년까지 기후 위기로 인한 누적 건강 손실 예측(출처=세계경제포럼)


무엇보다 기후변화로 질병이 창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유럽과 미국처럼 이전에 영향을 덜 받았던 지역에서도 기후변화로 매개 질병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로 인해 2050년까지 5억명이 매개 질병에 노출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샤얌 비셴(Shyam Bishen) WEF 보건의료센터장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 탄력적인 국제보건망을 구축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국제보건 노력은 물거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네사 케리(Vanessa Kerry) 세계보건기구(WHO) 기후변화 및 보건 특사는 "기후위기는 보건위기이며, 질병, 경제적 파괴, 고통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며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사망자가 더 늘어날 뿐만 아니라 국제보건에 있어 수십년에 걸쳐 이룬 진전을 잃을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기후위기의 악영향은 불평등하게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전세계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며, 여성과 청소년, 노인, 저소득층 등 가장 취약한 인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짚었다. 특히 보고서는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같은 지역은 자원제한, 사회 안전 인프라, 필수 의료장비 부족으로 인해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취약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효적인 국제협력을 위해서는 국경과 산업을 초월한 이해관계자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보건시스템을 보다 탄력적이고 적응력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보고서는 촉구했다.

샘 글릭(Sam Glick) 올리버와이만 보건 및 생명과학 전무이사는 "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사망률, 이환율, 상호 연결된 거시경제 환경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을 조명한다"며 "보고서 내용처럼 기후변화로 인해 의료시스템에서만 1조1000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변화의 충격을 완화하고 모두의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려면 지속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