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1.5℃ 넘은 것은 아닐까?...1월 최고기온 또 갈아치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2-08 15:42:06
  • -
  • +
  • 인쇄
8개월 연속 월평균기온 최고치 경신
해수면 온도는 21.12℃ 역대 최고치
▲2024년 1월 평균기온과 1991~2020년 1월 평균기온 비교 (자료=C3S)


올 1월 땅과 바다 모두 역대 1월 중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8개월 연속 월평균기온 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 지구 평균기온이 끝을 모르고 치솟고 있어, '1.5℃ 목표'가 이미 물건너간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는 올 1월 전세계 평균기온 수은주가 13.14℃를 찍고 종전 최고치인 2020년 1월 13.02℃를 제쳤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지난 1991~2020년 1월 평균기온과 비교했을 때 0.7℃ 높고, 19세기 산업화 이전대비 1.66℃나 높은 수치다.

해수온도도 마찬가지로 역대 1월 중 가장 더웠을 뿐 아니라 관측사상 가장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전세계 해수면 평균온도는 20.97℃로, 종전 최고기록인 2016년 1월보다 0.26℃ 더 올랐다. 해수온도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2월초까지도 꾸준히 오르면서 지난 4일 21.12℃를 돌파했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지난 2023년 8월 20.98℃를 한참 웃도는 수치다.

▲1979~2024년 연도별 해수면 평균온도 비교. 검은색 실선이 2024년 기록인데, 2023년 8월경 종전 최고치를 이미 올라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료=C3S)


이에 따라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국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로 한 '1.5℃ 목표'가 깨진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6월부터 지표면과 해수면 모두 월평균기온 최고기록을 8개월 연속 경신하면서 지난 12개월간(2023년 2월~2024년 1월) 전세계 평균기온은 1991~2020년 대비 0.64℃, 산업화 이전대비 1.52℃ 오른 상태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 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된 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해양생물 '바다수세미' 골격의 화학적 구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미 지구 평균기온은 2020년 산업화 이전대비 1.7℃ 상승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다만 아직 섣불리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 파리협정에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의 수준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합의가 없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엘니뇨나 대규모 화산폭발 등의 변수를 고려해 20년 평균치를 기준으로 두고 있는데, 시간 터울이 너무 길어 10년 관측치와 10년 예측치를 혼합한 평균값을 지표로 둬야 한다는 제안도 나오는 상황이다.

아울러 지난해 5월부터 '슈퍼 엘니뇨'가 발달하면서 올 4월까지 높은 해수온도가 유지돼 평균기온을 견인할 예정인 가운데 엘니뇨가 잦아들고나면 어느 정도 예년 기온을 회복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2024년이 역대 가장 더운 연도들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들 확률이 99%이지만, 2023년을 제치고 가장 더운 해에 등극할 확률은 3분의 1 정도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그랜섬연구소 의장 브라이언 호스킨스 경은 이번 C3S 데이터에 대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1.4℃ 이내라고 다 안전하고 1.6℃ 올랐다고 다 죽는 건 아니지만, 12개월 평균이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파리협정을 포함한 기후변화 억제 목표를 지키기 위해 시급히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엄중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