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에도 기온 내려가는 美 남동부...그 이유 밝혀졌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9 15:35:58
  • -
  • +
  • 인쇄
'온난화 구멍' 원인은 대규모 조성된 재조림 덕분
나무의 증산작용으로 인해 주변지역 '냉각 효과'

미국 동남부가 서부보다 평균기온이 낮은 이유가 광범위하게 조성된 산림의 증산작용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과학계는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동부가 서부보다 기온이 더 낮은 현상을 '온난화 구멍'이라고 부르며 난제로 여겼는데, 이번에 그 원인을 밝힌 것이다.

최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온난화에도 미국 남동부 지역의 기온은 크게 오르지 않거나 심지어 1~2℃ 내려가는 이유가 미국 동남부에 1500만헥타르(hr) 규모로 조성된 숲에 의한 냉각효과 때문으로 확인됐다.

미 동남부 지역은 건국초기 이민자들이 농업과 거주를 위해 무차별적으로 산림을 벌목하면서 엄청난 규모의 산림이 훼손됐다. 이에 미국 정부 주도하에 1920년대부터 재조림 사업이 진행됐고, 이후 한 세기동안 나무들이 무럭무럭 자라나 현재와 같은 대규모 산림으로 복원됐다. 이 산림의 규모는 영국보다 더 넓은 국토를 모두 덮고도 남을만큼 광활하다.

연구의 주 저자인 말로리 반스(Mallory Barnes) 인디애나대학교 환경학과 교수는 "재조림의 영향은 놀라웠다"면서 "나무들이 주변기온을 낮추면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막아주는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또 "온난화 구멍은 미스터리여서 이번 연구에서 모든 것을 증명하지 못했지만, 분명한 것은 이 지역의 온도가 억제된 이유가 산림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증명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의 온도가 억제된 것은 산림의 작용 외에도 햇빛을 차단하는 대기중 오염물질과 농업관개도 잠재적 원인일 수 있기 때문에 재조림된 숲만 '온난화 구멍' 현상을 유발시킨 유일한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 숲은 증산작용으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산 작용은 뿌리를 통해 잎으로 물을 끌어올린 다음, 잎을 통해 공기중으로 수증기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말한다. 이 때문에 나무 주변의 기온이 내려가게 된다.

연구팀은 "1900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 동부 전역에 위치한 인공위성과 기상관측소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재조림 지역은 대규모 냉각효과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나무에서 400m 이내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재조림 숲은 미국 동부를 매년 1℃~2℃ 냉각시키고 있다. 냉각 효과는 여름철 가장 더운 날에 가장 강해, 해당 기간에는 최대 5℃까지 기온을 낮추고 있다.

이에 반스 교수는 "도심 인근의 산림을 복원해야 한다"며 "그늘진 나무가 부족해 기온이 특히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나무는 사람의 땀과 비슷한 증산작용을 통해 지표면 온도에 매우 유익한 영향을 미치며, 실제로 많은 열을 식혀주었다"며 "앞으로 우리는 나무심기를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냉각효과도 고려해서 심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패트릭 곤잘레스(Patrick Gonzalez) 캘리포니아주립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산림생태학 교수는 "이 연구는 나무가 대기를 식히는 역할을 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한 것"이라며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석탄과 석유 등 탄소 오염을 줄이는 것 못지않게 나무를 심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과학자들은 "재조림만으로 기후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근본적으로 탄소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반스 교수 역시 "나무 몇 그루 심으면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라며 "화석연료 배출량을 대폭 줄이는 것이 먼저이고, 그에 더해 재조림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기후/환경

+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녹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 제거하는 미생물 발견

산화철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발견됐다.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미생물학자 마크 무스만(Marc Mussmann)과 알렉산더 로이(Alexander

벼농사·태양광발전 동시에 했더니...수익 8배 늘었다

벼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진행한 논의 소득이 벼농사만 지은 것보다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

북극이 녹색으로..."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에 녹지 생겨"

새하얀 북극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지구의 최북단인 북그린란드 북위 82도에서 급격히 진행 중인 녹화 현상과 토양

[COP30] 고함치고 격렬한 몸싸움...원주민 시위대와 경비원 충돌

유엔 기후총회에서 원주민과 비정부기구(NGO)로 구성된 시위대와 경비원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했다.12일 AP, AFP,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밤(

[COP30] "트럼프는 침입종"...美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직격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로 유력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