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생물 회복세...15년 새 450여종 늘어
46.9km에 달하는 한강변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8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한강숲 조성사업'을 시작하자 삵과 황조롱이 등 멸종위기종들이 돌아왔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콘크리트로 조성된 호안을 흙과 자갈, 바위 등 자연소재로 복원하는 '자연형 호안 조성 사업'을 2025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한강변의 호안 길이는 총 82㎞에 이른다. 이 가운데 교량, 접안시설 등 안전상의 이유로 복원할 수 없는 지역을 제외한 57.1㎞를 모두 복원한다. 지난 2023년에는 46.9㎞까지 복원을 완료했다.
'자연형 호안'으로 복원하면 단순히 호안의 형태만 바뀌는 게 아니라 생물들의 서식지가 복원된다. 흙과 바위로 수변 완충지대가 마련되고, 나무 장대가 설치돼 조류가 휴식할 수 있다. 특히 강가의 비탈면에는 물억새, 수크렁 같은 물과 친밀한 식물이 자라면서 하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한강숲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8만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한강숲 조성사업'은 한강 호안과 둔치에 숲을 조성해 자연성을 회복하고, 미세먼지저감, 기후위기 대응 등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물가에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생태숲', 시민이 이용하는 공간에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이용숲', 도로 근처에는 소음과 먼지를 차단하는 '완충숲' 등 2025년까지 총 371만그루의 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7만그루를 식재한다.
서울시는 조성된지 평균 18년이 지나 노후된 5개 한강생태공원(고덕수변·암사·여의도샛강·강서습지생태공원, 난지생태습지원)도 2026년까지 재정비한다. 습지가 많아 맹꽁이들의 서식처로 이용되는 곳은 퇴적물을 걷어내 적정한 수심을 확보하고, 수달이 종종 발견되는 여의도샛강생태공원에는 일광욕을 즐기는 수달의 습성을 고려해 '수달모래톱' 공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실제로 서울시의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지난 2007년 1608종이던 한강의 생물종은 2022년 2062종으로 늘었다. 한강생태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삵, 맹꽁이를 비롯해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와 수리부엉이 등이 관찰된 것이다. 서울시 보호야생생물종인 오색딱따구리, 청딱따구리, 흰눈썹황금새 등도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서울시는 앞으로 각 생태공원의 환경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해 △한강 노을 명소 조성 △자연형물놀이장 조성 △생태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시민과 자연이 서로 건강하게 마주할 수 있는 특화공원으로 재정비한다는목표다.
서울시는 "2014년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다양한 노력으로 여러 생물종이 발견되면서 생태계 건강에 청신호가 켜졌다"며 "앞으로도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사업을 지속해 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