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기 고장신고 빨라지나?...서울시 '통합관리' 나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0 15:16:08
  • -
  • +
  • 인쇄
▲전기차 충전소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전기차 충전서비스의 품질강화를 위해 '서울형 급속충전기'에 대한 인증제를 도입하고,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전기차 급속충전소는 사업자별로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시민들은 부정확한 정보와 고장발생시 느린 대응, 유지관리 미흡 등으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소 확충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성능 유지와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면서 "50여개로 늘어난 충전사업자들이 서로 다른 시스템을 기반으로 급속충전기를 운영하다보니 많은 문제가 불거졌다"고 했다.

이에 서울시는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급속충전기를 통합관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서울시는 '충전기 인증제'를 도입해 인증된 충전기가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인증 충전기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브랜드(BI)도 부착한다. 

서울시는 우선 서울시 재원이 투입된 충전기 1000대에 대해 고장코드를 통일하고, 1시간 이상 걸렸던 충전소 정보제공 통신주기를 1분 이내로 줄였다. 이후 민간충전기까지 통합관리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올 10월 기준 서울시내 충전기 수는 7만2000기다. 전기차는 8만2000대로, 충전기당 차량 비율이 1기당 1.1대다. 이는 1기당 10대인 세계 평균에 비해 높은 수치로, 서울시는 양적 확충을 달성한 만큼 서비스 이용 편의 등 질적인 부분 또한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서울형 충전기 인증 브랜드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QR 간편신고' 등을 도입해 충전소 고장신고 창구도 간소화 및 일원화해 보완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해나갈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에 도입한 서울형 급속충전기 인증제는 단순한 충전소 관리를 넘어 전기차 충전 체계에 새로운 기준을 세우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충전기 통합관리와 인증제를 통해 빠르고 편리하고 안전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모델을 제시해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삼성, 산불 피해 복구에 30억원 지원

경상권 대형 산불 피해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진 가운데, 삼성이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삼성 계열사 8곳은 대형 상불로

기후/환경

+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작년의 2배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이미 지난해 한 해 배출량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증가한 온실가스에 기후변화가 가속되고, 온실가스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피해 키운 원인은?

미얀마 강진 발생 이틀째인 29일(현지시간)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600명대로 집계됐지만 미국 지질조사국(USGS)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가 1만명 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