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로 어려움을 느낀다는 농민이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소비자연맹이 농민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30.7%가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로 농업이 어렵다고 답했다.
기후위기에 대한 농민들의 경각심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농업의 어려움을 느낀 요인으로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를 택한 농민의 비중은 지난 2022년 18.9%에서 지난해 27.7%로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농민의 54.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농업관련 신기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잘 모른다는 답변이 많았다.
신기술 가운데 유전자변형기술과 유전자가위기술을 모른다는 응답은 각각 65.7%, 76.0%였고 활용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이 모른다고 답했다.
이 신기술을 이용해 재배된 작물의 국내 재배승인 여부(78.0%), 전세계 재배·수입 현황(78.0%), 정부의 안전성 관리 여부(70.3%), GMO 표시제도(70.7%) 등에 대해서는 10명 중 7명 이상 꼴로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농산물의 안전성,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농민과 소비자에게 유전자변형기술과 유전자가위기술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