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와 시금치 등 채소값이 고공행진을 했던 올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지수는 지난해보다 6.6% 뛰었다. 최근 3년 이래 최고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지수는 6.6% 상승해 지난 2021년 9.9% 상승 이후 가장 높았다고 31일 밝혔다. 2022년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지수는3.8% 올랐고, 2023년에는 2.5% 증가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농산물 수급 여건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23년 냉해 등으로 사과·배 생산량 감소했고, 지난 2월 지속된 강우와 일조량 부족으로 인해 농산물들이 생육부진을 겪었다. 여름철에는 이례적인 고온이 지속되면서 노지채소류 생산량이 줄었다.
올 12월 소비자물가만 놓고 보면 농축산물은 지난달보다 2.9% 상승했고, 지난해 같은달보다는 2.4% 올랐다. 이 가운데 농산물 가격 상승률만 보면 전월 대비 4.3%, 전년 동기대비 2.6%로 더 높았다.
이에 농식품부는 겨울철에 수확되는 무와 감귤 생산량이 감소해 높은 가격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제주지역이 주산지인 겨울무가 파종기 폭염 영향으로 발아가 부진해 생산량이 감소했고, 제철인 귤도 폭염으로 인한 열과(과일 갈라짐) 현상이 나타나 유통 가능한 물량이 감소했다.
농식품부는 무는 재파종한 물량이 출하되는 내년 2월부터 공급이 회복되고, 감귤은 천혜향 등 만감류가 본격 출하되는 내년 1월부터 공급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축산물 물가는 전월보다 0.7% 올랐고 작년보다 2.1% 상승했다. 농식품부는 가축전염병 발생이 축산물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방역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12월 가공식품과 외식 소비자물가 지수는 각각 전월 대비 0.8%, 0.2% 올랐고 전년 동기대비 2.0%, 2.9% 상승했다. 이상기후와 재배면적 감소 등으로 코코아, 커피, 팜유 가격이 상승한 데다 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앞으로 일부 메뉴·제품 가격 추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반복적인 수급불안에 대응하고자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대책', '유통구조 개선 대책', '기후변화 대응 원예농산물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해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 박순연 유통소비정책관은 "올해는 폭염, 일조량 감소 등 어려운 기상여건이 지속돼 농산물 가격이 불안한 상황이었다"며 "이상기후 발생을 정책의 상수로 두고 정부가 마련한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안정적인 농축산물 공급 여건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