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ESG 공시' 기준과 전략 2025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1 18:55:54
  • -
  • +
  • 인쇄


주요 ESG 공시기준이 거의 다 확정되면서 재무제표 방식의 ESG 공시는 필수가 됐다. ISSB 공시기준이 기후공시를 기준으로 글로벌 ESG 공시의 기준선으로 자리잡았고, 유럽연합(EU) ESRS는 기후를 포함한 환경, 사회, 거버넌스 공시기준을 확정해 2024 회계연도부터 의무공시가 시작됐다. 한국은 ISSB(IFRS, S1, S2) 공시기준을 준용한 KSSB 공시기준 공개초안이 나왔고 2025년 상반기에 공시기준과 로드맵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제 자율공시든 의무공시든 기존 방법을 고집하는 것은 바뀐 공시 패러다임을 무시하는 것이고, 정보이용자(고객)인 투자자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하는 일이다.

이에 '탄소회계와 ESG 공시 2024'를 출간했던 대주회계법인의 손기원 부대표는 이번에 ISSB (IFRS, S1, S2) 공시기준, EU ESRS, KSSB 공개초안 SEC 기후공시규칙 등 현행 주요 국내외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최초로 망라한 'ESG 공시기준과 전략 2025'를 출간했다.

이 책은 한국 기업이 ISSB, ESRS 및 KSSB 기준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제시한다. 세 기준의 공통점은 재무공시가 중심이라는 점과 재무제표와 통합보고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ESG 공시의 주된 정보이용자가 투자자로 특정된 상황에서 투자자의 니즈에 맞는 공시를 하여 금융에서 소외되지 않는 것이 공시의 주 목적이 됐다.

이 책은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의 ESG 공시 책임자와 경영자를 위한 지침서이며 전략서다. 2024년에 '탄소회계와 ESG 공시 2024'로 기초를 잡았다면 이제 이책으로 ISSB, ESRS 및 KSSB 기준 등을 깊이 이해하고 관련 공시전략과 예시를 채득함으로써 IR을 가능하게 하는 ESG 통합 재무공시를 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책의 목표다.

저자는 "ESG 공시는 2024년을 기점으로 PR(홍보) 수단의 역할이 끝나고 2025년부터는 IR(투자자 관계) 수단으로 바뀌게 됐다"며 "2024년에 ESG 공시 혁명이 있었다면 2025년은 ESG 통합 재무공시 실행의 시작점이 됐다"고 말했다.

손기원 지음/507페이지/4만5000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어린이 드림캠프…장학생 30명 3년간 지원

코오롱그룹이 올해 30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3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코오롱그룹 비영리 재단법인 꽃과어린왕자는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경기 용인 코오

환경부 '국제협력관' 신설..."기후선도국가 위상 강화한다"

환경부가 국제협력관을 신설해 국제 환경협력을 강화하고 환경무역장벽 대응에 나선다.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

[영상]한달새 벌써 4번째...캐나다 공항서 착륙하던 여객기 전복

미국에서 항공기 사고가 잇달아 발생한 가운데 캐나다에서도 착륙하던 여객기가 눈길에 미끄러져 전복되는 사고가 일어났다.17일(현지시간) 캐나다 토

우리銀-수자원공사, PPA 체결..."연간 2200톤 온실가스 감축할것"

우리은행이 지난 14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한국수자원공사와 직접전력거래(PPA, Power Purchase Agreement)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직접전력거래(PPA)

서스틴베스트 "배당 안건 분석시 기업가치 고려해야"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가 배당 안건 분석 시 상장사들이 공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17일 밝혔다.서스틴베스트는

[최남수의 ESG풍향계] ESG경영 '리더십'이 핵심이다

한 제조기업에서 있었던 일이다. ESG 실무담당 임원이 회사의 ESG 경영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예산계획을 CEO에게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CEO

기후/환경

+

美 환경규제 '뒷걸음'?…트럼프 기후내각 친환경 반대자들 대거 포진

화석연료 옹호자부터 빅 오일 기업가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기 내각은 '드릴, 베이비 드릴'이라는 선거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인선으로 채

[영상] 이게 무슨 일이야?...흑범고래 수백마리 해변에서 떼죽음

호주 태즈메이니아(Tasmania) 북서부 아서 강(Arthur River) 인근 해변에서 150마리가 넘는 흑범고래가 떼죽음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흑범고래의 대규모

환경부, 하수도 예산 3조...상반기 70% 조기집행 목표

환경부는 올해 하수도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2460억원 증액한 3조152억원을 편성하고, 상반기에 예산의 70%를 집행하겠다고 18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국지

'브레이크 패드' 미세먼지, 배기가스보다 독성 더 강하다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배기가스보다 독성이 더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브레이크 패드가 설치된 전기자동차도 예외가 아

환경부 '국제협력관' 신설..."기후선도국가 위상 강화한다"

환경부가 국제협력관을 신설해 국제 환경협력을 강화하고 환경무역장벽 대응에 나선다.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

뜨거워진 바다 식는데 걸리는 시간 2배 늘었다...이유는?

바다가 뜨거워졌다가 다시 식는데 걸리는 시간이 40년 사이에 2배 길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세대학교 송하준 대기과학과 교수 연구팀과 존 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