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지역편차 심하다...올해 가장 많은 지역은?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3 08:00:03
  • -
  • +
  • 인쇄
지역에 따라 보조금 1100만원 차이
울릉군 가장 많고 영암군 가장 작아
손민기 ©newstree


올해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급액수가 가장 많은 지방자치단체는 최대 1680만원을 지급하는 경상북도 울릉군이고, 가장 작은 지자체는 580만원을 지급하는 전남 영암군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보조금 액수가 1100만원까지 차이가 난다.

12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경상북도 울릉군에서는 차종에 따라 보조금 액수의 차이가 있지만 국비와 지방비를 합친 전기차 보조금을 최대 168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울릉군의 전기차 지방비는 292만~1100만원으로, 평균 652만원이다. 여기에 국비 613만원 합치면 최대로 168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현대자동차 '더뉴아이오닉6 2WD 롱레인지 19인치 빌트인 캠 미적용' 모델의 경우는 1707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울릉군을 다음으로 지방비를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지역은 경남 합천군과 전남 보성군이다. 합천군은 평균 585만원이고, 보성군은 평균581만원이다. 여기에 국비를 합치면 합천군에서는 1490만원, 보성군에서는 1430만원의 보조금으로 받을 수 있다. 이는 서울시에서 구매했을 때보다 각각 850만원, 790만원이 많다.


광역시 가운데 광주가 최대 910만원으로 보조금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부산이 최대 860만원, 대구가 최대 830만원, 인천이 최대 810만원 순으로 지급한다. 다만 올해는 생애 첫 전기차를 구매하는 청년이나 차상위 이하 계층에게는 국비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한다. 또 8세 이하 자녀가 2명인 경우 국비 100만원, 3명인 경우 200만원, 4명 이상인 경우 3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해주기 때문에 실제로 최대금액은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보조금까지 감안해 광주에서 '아이오닉6 롱레인지 2WD 18인치' 모델을 구매한다면 국비와 지방비를 모두 합쳐 보조금을 최대 937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부산에서는 888만원, 대구에서는 857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은 △차량 가격 △차량 성능(연비, 주행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차량가격이 5300만원 미만인 차량은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고, 5300만~8500만원 미만인 차량은 최대 보조금의 50%, 차값이 8500만원 이상이면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1회 충전시 주행거리에 따라서도 보조금이 차등 지급되는데, 중·대형 전기차는 주행거리 440km 이상일 때 보조금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고 주행거리 440km 미만일 때는 10km당 보조금 8만1000원씩 차감된다. 경·소형 전기차는 주행거리 280km 이상일 때 보조금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고 지원주행거리 280km 미만일 때는 10km당 보조금 5만원씩 차감된다. 

따라서 차값이 7199만원인 테슬라의 '모델Y 퍼포먼스'를 서울에서 구매하면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210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고, 경기도에서는 270만원, 울릉군은 553만원, 합천은 492만원을 받을 수 있다.

차값이 5698만원인 현대차 '더뉴 아이오닉5 롱레인지 2WD 19인치 모델'을 서울에서 구매하면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668만원, 경기도에서 구매하면 850만원, 울릉군에서는 1698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기아차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 모델'을 서울에서 구매하면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670만원, 경기도는 860만원, 합천군은 152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각 지자체별로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한 보조금 지급 대수도 상이하다. 서울은 승용차 4000대, 경기도는 300~1500대, 6대 광역시에서는 3000~4000대 정도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합천군은 200대, 보성군은 50대 정도 보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지역별로 전기차 보조금 지원대수가 차이나는 것은 지자체마다 예산과 취득·등록세 수입 규모 등을 고려해 보조금을 책정하기 때문이다. 일부 소도시는 전기차 충전소나 수리 등 인프라가 부족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조금을 더 주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동일한 차량을 더 높은 가격에 구입해야 하는 불이익을 받고 있으며, 일부 구매자들은 더 많은 보조금을 받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원정 구입을 시도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이항구 연구위원은 "전기차 보조금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중요한 지원책이지만, 지금처럼 지자체별로 차이가 크다면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며 "보조금 책정 기준을 중앙정부에서 조정하고, 전국적인 형평성을 고려해 보조금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