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실적 '희비교차'…올해는 AI로 승부 겨룬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3 17:03:47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국내 빅테크 투톱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지난해 실적에서 희비가 교체했다.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 기업 중 처음으로 매출 10조원을 달성한 반면 내수 부진 여파로 시장 기대치에 못미치는 실적을 내놨다.

네이버는 지난해 매출 10조737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32.9% 증가한 1조9793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조정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은 전년 대비 24.9% 증가한 2조6644억원이다.

네이버는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면서 호실적을 만들어냈다. 지난해 가장 성장률이 컸던 부문은 클라우드 사업으로, 매출이 전년보다 26.1% 늘어난 5637억원을 달성했다. 커머스 부문의 매출은 2조9230억원으로 전년보다 14.8% 늘었고, 서치플랫폼(검색) 부문은 9.9% 증가한 3조9462억원으로 집계됐다.

커머스 부문은 지난해 10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로 인한 쇼핑 경험 향상과 넷플릭스 등 멤버십 제휴로 이용자 혜택을 강화한 점이 시장에 먹혔다. 커머스 광고의 효율성과 수익성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매출이 상승했다. 서치플랫폼은 플랫폼 경쟁력의 지속적인 강화로 광고 효율 최적화를 달성하며 성장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비해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4.2% 증가한 7조8738억원에 그치면서 네이버와 격차를 더 벌였다. 영업이익은 4915억원으로 6.6% 증가한 데 그쳤다. 실적이 떨어지진 않았지만 지난해 영업이익 예상치인 5032억원에 다소 못미쳤다는 평가다. 특히 지난해 4분기는 적자를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1조9591억원, 영업이익은 33.7% 감소한 1067억원을 기록하면서 4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실적 부진의 원인은 국내 불경기 여파와 지난해 티메프 사태로 인해 카카오페이가 회수하지 못한 금액(일회성 대손상각비)인 315억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만약 해당 피해가 없었다면 연간 조정 영업이익은 5230억원으로 전년보다 13.5% 증가하게 된다. 

카카오의 사업 중 지난해 매출이 감소된 건 지적재산(IP) 라인업이 부족한 콘텐츠 부문이었다. 지난해 콘텐츠 부문 연간 매출은 3조97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 줄었다. 뮤직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1조9200억원을 기록했지만, 게임 매출은 전년 대비 14%나 줄어든 8730억원이다. 플래그십 콘텐츠가 없는 미디어 매출도 전년 대비 10% 줄어들었다.

다만 플랫폼 부문과 커머스 부문 등은 오히려 성장세를 보였다. 플랫폼 부문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3조9030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톡비즈 광고 매출이 전년 대비 7% 증가한 1조1990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은 전년 대비 5% 성장한 907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티메프 사태라는 뼈아픈 손실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기대 이하의 실적이 나오면서 주가 하락세는 면치 못했다. 13일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내리막을 타며 전 거래일 대비 4.29% 떨어진 4만2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실적에선 희비가 엇갈렸지만 올해부터 본격적인 인공지능(AI) 경쟁이 펼처질 것으로 예상되며 업계와 주주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두 회사 모두 AI 서비스를 통한 성장에 사활을 걸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플러스스토어 앱을 올해 상반기 출시하고, 쇼핑과 광고 등에 AI를 접목하는 '온서비스AI' 전략을 지속할 계획이다. 서치플랫폼 부문에서는 AI 기반의 콘텐츠 분석 및 추천 기술을 정교화해 이용자 개개인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방침이다.

올해는 특히 네이버의 구원투수 이해진 창업자가 이사회 위원장으로 경영 전면에 복귀하면서 AI 사업을 전두지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카카오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맺고 다양한 AI를 서비스에 따라 다채롭게 배치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만의 AI 기술이 집약된 신규 기술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며 채팅 중심의 목적형 트래픽에서 새로운 맥락의 트래픽으로 변경해 유저 활동성 개선 기반을 구축하겠다"며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AI 모델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우선 올 상반기 중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 '카나나'를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AI 메이트란 이용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요청을 분석하고 적절한 답변을 추천해주는 형태로 기존 카카오 서비스를 강화하는 진입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는 이에 더해 카카오 비즈니스 생태계 전반에 생성형 검색 서비스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기후/환경

+

호주 봄날씨 실화냐?...한낮 기온이 46℃ '지글지글'

호주 북부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웃도는 폭염을 겪고 있다.호주 기상청(BoM)은 북부 지역인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폭염에도 실내온도 6℃ '뚝'…호주에서 옥상용 냉각코팅제 개발

폭염에 실내온도를 낮을 수 있는 옥상 코팅기술이 새로 개발됐다.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진은 폭염시 실내온도를 최대 6℃까지 낮출 수 있는 옥상용

[주말날씨] 단풍 보러갈 수 있을까...'가을비' 내린 후 쌀쌀

11월 첫 주말은 단풍이 물들며 완연한 가을날씨지만, 곳곳에 비가 내린 후 다시 초겨울 날씨가 오겠다.1일은 전국이 오전까지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