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초박막 태양광산업에 15억불 투자..."중국 독주 막겠다"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7 16:41:24
  • -
  • +
  • 인쇄
▲차세대 초박형 태양광 패널 (사진=오사카부)


일본이 중국의 독주를 막기 위해 차세대 초박막 태양광 패널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15억달러를 민간기업에 지원한다.

1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얇고 가볍고 유연성까지 갖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필름을 개발하는 세키스이화학(Sekisui Chemical)에 최대 1570억엔(약 10억달러)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한다. 이미 600억엔(약 4억달러)은 지급된 상태다.

일본 정부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는데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서는 것은 화석연료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전세계 태양광 패널 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태양광 패널보다 20배 얇다. 따라서 경기장이나 공항, 빌딩 등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일본처럼 평지가 부족한 나라에서 이 차세대 태양전지가 태양광 보급을 늘리는데 중요한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전세계 태양광 패널 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의 핵심 원료인 폴리실리콘의 79%도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 반면 '페로브스카이트'는 요오드(iodine)를 주원료로 하는데 칠레와 일본이 세계 최대 공급국이다. 일본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개발되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일본 정부는 2040년까지 전력의 최대 5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계획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세키스이화학은 물에 약한 페로브스카이트 필름의 단점을 극복한 '습기 유입 방지 특수밀봉 수지'를 개발하는 등 내구성을 크게 개선했다. 이렇게 완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이미 오사카에 있는 세키스이 본사를 비롯해 오사카역 버스정류장, 도쿄 크루즈터미널 등에 설치돼 있다. 

세키스이의 CEO인 카미와키 후토시는 "2027년까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생산비용이 기존 태양광 패널의 3~4배 수준이지만, 2030년까지 기존 실리콘 패널과 동일한 수준까지 낮출 계획"이라며 "태양광 시장에서 중국의 독점을 벗어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초기 생산비용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최소 3배 비싸고,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절감이 얼마나 가능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도쿄나 타이베이, 싱가포르 등 밀집된 도시지역이 주요 수요처가 될 전망이다. 우드 맥켄지(Wood Mackenzie) 태양광 공급망 연구책임자인 야나 흐리쉬코 박사는 "일본의 계획은 충분히 실현 가능하지만,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