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김혜지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9 11:48:07
  • -
  • +
  • 인쇄

▲ AI 생성이미지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는 현행 10% 비중인 유상할당 비중을 15~20%로 상향하는 것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고, 시민단체들은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해 무상할당을 유지하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환경부가 수립한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에 따르면 발전 부문의 유상할당 비중은 현행 10%에서 2026년 20%로 상향되고 매년 단계적으로 높여 2030년 50%까지 늘리는데 이어, 발전 외 부문도 15%까지 상향하는 것이다. 그러나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누출업종은 산업 경쟁력 보호를 이유로 현행과 동일하게 100% 무상할당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산업계는 유상할당 확대가 기업의 비용부담을 키운다고 우려한다. 한국경제연합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발전 부문 유상할당 비중이 확대될 경우 제조업 전기요금이 연간 5조원가량 증가하고, 철강·석유화학 등 주요 업종별로 수천억원대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유상할당이 확대되면 결국 전기요금 인상과 생산비 부담으로 이어져 국제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시민환경단체들은 환경부의 4차 할당계획이 국제흐름을 역행한다고 비판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 기후솔루션, 플랜1.5 등 환경단체들은 "10년 넘게 과도한 무상할당으로 잉여 배출권이 누적돼 1억4000만톤에 달했고, 배출권 가격이 폭락해 제도가 사실상 무력화됐다"며 "전 업종에 대한 유상할당 확대와 경매 수익의 기후대응기금 전환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국제동향과의 차이도 지적된다. 유럽연합(EU)은 발전 부문에 이미 100%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있으며, 철강·시멘트 등 탄소누출 업종 역시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무상할당을 줄여 2034년까지 전면 유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영국과 뉴질랜드 역시 발전 부문은 이미 전면 유상할당 중이며, 산업 부문 전반에 대해서도 경매 중심의 운영을 확대하고 있다. 시민사회는 "정부가 국제 기준에 맞춰 제도를 개편하지 않으면 한국 기업들이 EU 탄소국경조정제(CBAM) 부담을 크게 떠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한국과 EU의 배출권거래제 비교 ©newstree

이에 대해 환경부는 산업계의 부담과 기후위기 대응 사이에서 균형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단기적으로는 기업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민사회는 공청회 일정이 촉박했고 시민 의견 수렴도 부족했다며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문제 삼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기후/환경

+

20억명이 화석연료 매연에 노출..."석탄·석유 시설 5km 이내 거주"

전세계 인구의 25%가 화석연료 시설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전세계 인구의 25%에 달하는 20억명이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생산시설로부터

[COP30] 기후관련 가짜뉴스 근절한다...'정보 무결성 선언' 첫 채택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정보 조작과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정보 무결성 선언'이 처음으로 채택됐다.12일(현지시간)

[COP30] 인도, EU 탄소국경세에 맹폭…"기후정책 가장한 보호무역"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인도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세(CBAM)를 공개비판하면서 이 문제가

"韓, COP30에서 화석연료 금융 중단하는 CETP 가입해야"

전세계 79개 시민사회단체가 한국 정부를 향해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청정에너지전환파트너십(CETP)에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