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김혜지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9 10:31:30
  • -
  • +
  • 인쇄
▲AI 생성 이미지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9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 10년간 과도한 무상할당으로 기업들은 감축 노력 없이도 배출권을 쌓아 되팔아 이익을 얻었다"며 "제4차 기간으로 넘어갈 잉여 배출권만 1억4000만톤에 달해 제도의 실효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철강·석유화학·시멘트 상위 기업들이 지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확보한 잉여 배출권만 4000만톤이 넘는다.

그런데 환경부는 2026년~2030년까지 실시할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에서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누출업종의 유상할당 비중을 종전대로 0%로 유지하는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발전 부문 유상할당 비중은 현행 10%에서 내년부터 20%로 상향하고 매년 단계적으로 늘려 2030년에 50%에 이르겠다고 한 것과 대조적으로 탄소다배출 업종은 유상할당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는 국제동향과도 거래가 멀다는 지적이다. 유럽연합(EU)과 영국, 미국 캘리포니아주, 뉴질랜드 등은 이미 발전 부문에 전면 유상할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EU는 탄소누출업종 무상할당을 단계적으로 줄여 2034년까지 100% 유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배출권 가격은 최근 톤당 8000~9000원으로 유럽의 10분의 1 수준이다.

이에 녹색철강시민행동은 △전 업종 유상할당 확대 △경매 수익을 활용한 저탄소 기술 지원 △잉여 배출권의 전량 시장안정화예비분 편입 등을 즉각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국제기준에 맞는 제도 개편만이 산업 경쟁력과 미래 세대를 지키는 길"이라며 "환경부가 기업 눈치를 보며 공짜 배출권을 남발하는 한, 배출권거래제는 기후위기 대응수단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