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가 오는 12일부터 15일까지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5(이하 국제물주간)'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개최한다.
1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 국제물주간은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의 성과를 계승해 2016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 분야 국제행사다. 기후에너지환경부, 대구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물포럼이 주관한다.
이 자리에 캄보디아 수자원기상부, 카자흐스탄 수자원관개부, 케냐 물위생관개부, 오만 농수산수자원부, 태국 왕립관개청, 미국수도협회, 베트남상하수도협회 등 각국의 물 분야 고위급 인사를 포함해 전세계 60여개국의 물관리 관계자들이 모일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물의 미래를 함께 여는 스마트 혁신'을 주제로 3일간 고위급 회의, 특별세션, 포럼, 경연대회, 전시회 등 51개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의 물문제 해법을 논의한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발생한 기후재해의 85%는 홍수, 가뭄, 호우 등 물 관련 재해다. 이에 우리 정부는 예측, 생산, 공급 등 물흐름 전과정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대하는 물관리 AI 대전환(AX)을 제시할 예정이다.
먼저 물의 예측 단계에서는 AI와 가상현실(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홍수예보, 댐·하천관리를 고도화한 사례와 효과를 소개하고, 생산 단계와 관련해 '상수도 인공지능 전환 심포지엄'에서 상수도 AI 전환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AI 정수장이 세계 최초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품질 인증(BDN)을 획득한다. 이는 세계경제포럼(WEF) '글로벌 등대' 선정,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국제표준 초안 승인에 이은 성과다.
공급 단계 관련해서는 AI를 적용한 스마트 관망관리 기술의 효과와 해외 진출 전략이 논의되고, 누수 저감 기술 수요가 큰 태국의 현지 수요도 공유된다. 또 스마트 상하수관로 점검 로봇기술, 스마트 유량계측 기술 등 신기술이 소개되고, 물산업 인공지능 실증 지원을 위한 국가물산업클러스터의 비전도 제시된다.
13일 '민관협력 디지털·인공지능(AI) 물산업 토론회'에서는 AI·디지털 기술을 비롯한 산업폐수 재이용, 수력발전, 관개용수, 해수담수화, 초순수 등 혁신 사례가 공유될 예정이다.
또 국가·개발은행·혁신기업이 함께 모여 물관리 신규사업 수요와 해결책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인 '글로벌 물안보 개발협력 파트너십 토론회(포럼)'이 올해부터 처음 개최된다. 1층 전시홀에서 열리는 물산업 전시회에서 71개 기업·기관의 혁신제품, 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기후부는 케냐 물위생관개부와 지속 가능한 물관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12일에 체결하고, 13일에 열리는 케냐 물안보 협력 학술회를 통해 협력 방안도 구체화한다. 세계물도시 토론회에는 핀란드 미켈리, 일본 구마모토 등 9개 도시가 참여해 도시 물문제의 우수 해결 사례를 공유한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는 카자흐스탄, 베트남의 주요 기관과 물산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 밖에 물기업의 해외진출을 돕는 '테크 익스체인지'가 행사기간 운영된다.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도미니카 공화국 등에서 12개 기관을 초청한 수출상담회 등도 열린다.
금한승 기후에너지환경부 차관은 "1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 국제물주간'은 기후위기라는 전지구적 문제에 맞서 인공지능 기반 물관리가 얼마나 구체적이고 강력한 해법이 될 수 있는지 전세계에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번 행사가 대한민국 물분야 스마트 혁신을 가교로 지속 가능한 물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10년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