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thumbimg

뇌속 청소세포 회춘으로 치매치료 가능성 열었다
▲미세아교세포 역노화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모식도 (그래픽=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진이 뇌속에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회춘시켜 뇌의 인지기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연구재단 김동운 경희대 교수연구팀은 신효정 충남대 뇌과...2024-04-11 12:54:47 [조인준]

thumbimg

HLB 간암신약, 美 NCCN 가이드라인 등재신청 완료
HLB가 간암신약의 미국 판매허가를 앞두고 미국 국립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 등재신청을 완료했다. NCCN은 미국에 있는 국립 암센터나 연구소 등 32개 기관들이 연합한 단체로, 세계 전역의 전문의, 연구진들에게 가장 공신력 있는 진료 ...2024-04-09 16:31:26 [김나윤]

thumbimg

HLB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개발 나선다
HLB그룹 계열사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가 자사의 카티(CAR-T) 치료플랫폼 'KIR-CAR'를 활용해 개발한 CAR-T 치료제의 림프종에 대한 연구결과를 미국 암연구학회(AACR)에서 발표한다고 9일 밝혔다.기존에 상...2024-04-09 09:52:10 [김나윤]

thumbimg

HLB 리보세라닙, 식도암 생존율도 높인다
HLB의 항암신약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이 식도암 환자의 생존율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HLB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수술전 화학요법과 병용할 경우 식도암 환자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연구결과가 세계 최고권위의 의과학 학술지 '란셋 디스커버리 사...2024-04-08 14:33:31 [김나윤]

thumbimg

HLB 간암신약, 수술불가 환자에서 '완전관해' 도출
HLB의 간암신약이 수출이 불가능한 환자에게서 '완전관해' 사례가 나오는 등 간암분야 전환치료제(conversion therapy)로서의 높은 효능을 연이어 입증하고 있다.HLB는 자사의 간암신약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결정이 불과 한달여 남은...2024-04-08 09:37:37 [김나윤]

thumbimg

HLB그룹 계열사, AACR서 연구성과 잇따라 발표
HLB그룹 계열사들의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 성과가 국제 학회에서 잇따라 공개된다.HLB그룹은 HLB테라퓨틱스와 HLB생명과학, HLB의 자회사 엘레바가 오는 5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서 각...2024-04-02 10:22:02 [김나윤]

thumbimg

HLB "리보세라닙, 간암치료 판도 바꾸는 놀라운 확장성 또 확인"
HLB의 간암신약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신약허가 결정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투여 후 수술이 가능해졌으며, 이후 후속 투여를 통해 완전관해까지 도출했다고 2일 밝혔다.이는 기존 수술이 불가...2024-04-02 09:24:48 [김나윤]

thumbimg

오리온 '리가켐바이오' 5485억에 인수..."식품바이오 기업으로 발돋움"
오리온이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 지분 25.73% 인수를 위한 주식대금 5485억원 납입을 완료하고 최대주주로 올라섰다고 29일 밝혔다.오리온은 리가켐바이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5만9000원에 796만3283주를 배정받았으며, 창업자 김용주 대표와 ...2024-03-29 15:32:37 [김나윤]

thumbimg

HLB테라퓨틱스, 교모세포종 임상2상 중간결과 AACR 발표
HLB테라퓨틱스의 미국 자회사 오블라토(Oblato)가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재발성 교모세포종에 대한 임상2상 중간결과를 포스터 형태로 발표한다.세계 3대 암학회 중 하나로 불리는 AACR은 매년 전세계 연구기관과 빅파마, 전문의들이 모여 항...2024-03-29 12:51:39 [김나윤]

thumbimg

모유 통해 흡수한 초미세플라스틱…자녀 비만 초래한다
▲어미가 섭취한 초미세플라스틱이 새끼 생쥐의 비만을 유도하는 과정(그래픽=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자녀에게 전해지면 비만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이다용 박사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진행한...2024-03-28 14:28:41 [조인준]

thumbimg

'회춘의 길' 열리나...생쥐 면역계, 젊은 상태로 되돌리기 성공
▲골수성 편향 조혈세포(my-HSC)를 제거하는 항체요법 모식도 (사진=Nature News & Views) 미국의 한 연구팀이 생쥐를 대상으로 노화된 면역계를 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데 성공했다.28일 어빙 와이스먼 미국 스탠퍼드대학 교수팀은 노화된 줄...2024-03-28 11:07:49 [김나윤]

thumbimg

HLB 신약, FDA 허가 '성큼' ..."파이널리뷰 미팅, 이슈없이 종료"
HLB의 간암신약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본심사 절차가 막바지에 다다른 가운데, FDA와의 '파이널리뷰'(Late Cycle Review) 미팅에서도 특별한 이슈가 제기되지 않아 신약허가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HLB는 미국 자회사인 엘레바(Ele...2024-03-26 09:23:57 [김나윤]

Video

+

ESG

+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쿠팡 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쿠팡 산재로 번질까 '화들짝'

연일 35℃에 달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21일 연합

기후/환경

+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나무' 심는 지역에 따라 온도 낮추는 '냉각효과' 다르다?

열대지방에 나무를 심으면 다른 지역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및 기후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