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thumbimg

유전체 분석과 AI기술로 '기후에 강한 품종' 개발한다
폭염과 가뭄 등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육종' 기술이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은 '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에 △차세대 롱리드 시퀀싱(플랫폼바이...2024-02-26 12:00:02 [조인준]

thumbimg

SK C&C, 뇌경색 진단 AI솔루션 식약처 허가획득
▲SK C&C가 개발한 뇌경색 진단 AI솔루션 '메디컬인사이트플러스 뇌경색'이 3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사진=SK C&C) SK C&C는 뇌경색 진단 AI솔루션 '메디컬인사이트플러스 뇌경색'(Medical Insight+ Brai...2024-02-22 10:44:11 [조인준]

thumbimg

감각 느끼는 '인공피부' 개발됐다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의 촉각 전달 매커니즘 (자료=KIST) 국내 연구진이 피부재생은 물론 감각까지 전달되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영미 박사와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유기준 교수, 성균관...2024-02-19 10:37:08 [조인준]

thumbimg

방사선이 유발한 정상세포 돌연변이 처음으로 규명
▲연구 모식도 (자료=카이스트) 국내 연구진이 방사선으로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정상세포의 DNA가 돌연변이되는 특성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규명함에 따라, 앞으로 안전하게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2024-02-15 09:23:36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CT-P47' 유럽 품목허가 신청
셀트리온은 유럽의약품청(EMA)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Actemra, 성분명: 토실리주맙)의 바이오시밀러 'CT-P47'의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유럽에서 '로악템라'라는 브랜드로 판매되는 '악템라'는 류마티스 관절염(RA), 거...2024-02-13 10:04:38 [김나윤]

thumbimg

발기부전 치료제, 알츠하이머병 발병률도 낮춘다
발기부전 치료제가 알츠하이머병 위험을 18%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 루스 브라우어(Ruth Brauer)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박사팀은 발기부전 진단을 받은 남성 27만여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발기부전 치료제와 알츠하이머...2024-02-08 12:27:06 [김나윤]

thumbimg

뼈에도 '반창고' 붙인다고?...KAIST, 뼈재생 신소재 개발
▲향상된 뼈 재생 메커니즘의 도식적 표현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융합 P(VDF-TrFE)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자료=카이스트) 뼈조직 성장을 촉진하는 압전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연구팀과 전남대학교 융...2024-01-25 10:08:36 [김나윤]

thumbimg

동국제약, 잇몸약 '인사돌' 유럽시장 진출한다...스위스에서 품목허가
▲인사돌 정 (사진=동국제약) 동국제약의 생약성분 잇몸약 '인사돌'이 유럽 일반의약품 시장에 진출한다.동국제약은 '인사돌'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스위스 의약품청(Swissmedic)으로부터 일반의약품 품목허가를 획득해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2024-01-23 09:47:32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 자가면역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 80㎎ 美 출시
▲미국에 출시된㎎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성분명 : 아달리무맙)의 80mg/0.8mL(이하 80mg) 용량제형을 미국에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유플라이마&...2024-01-17 10:48:06 [김나윤]

thumbimg

'근손실' 사망률까지 높인다?..."근감소증이 심혈관질환 유발"
근육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근감소증(Sarcopenia)이 심혈관질환 및 사망률까지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대사질환과 복부비만에 근감소증이 동반되는 경우 그 위험성이 더 커진다.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와 한림대 강남성심...2024-01-11 11:00:26 [김나윤]

thumbimg

셀트리온 "2030년까지 5배 매출성장"...JP모건 헬스케어에서 비전 제시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과 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총괄 대표이사가 1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의 메인트랙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이 2030년 바이오시밀러 22개에 신약 매출까지 최...2024-01-11 10:13:25 [김나윤]

thumbimg

"게임 오래하면 머리 나빠진다"...사실이었다
"게임을 너무 많이하면 머리가 나빠진다"던 부모님의 잔소리가 사실임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5일 삼성서울병원 최정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게임중독이 뇌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18~39세의 게임중독 환자 26명과 정상 대조군 25명을 대...2024-01-05 17:17:15 [조인준]

Video

+

ESG

+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쿠팡 물류센터 50대 근로자 사망...쿠팡 산재로 번질까 '화들짝'

연일 35℃에 달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21일 연합

기후/환경

+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아마존 보호해제...브라질 '콩 모라토리엄' 19년만에 중단

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콩 모라토리엄'을 19년만에 중단하면서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될 위기에 처했다.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브라질

'나무' 심는 지역에 따라 온도 낮추는 '냉각효과' 다르다?

열대지방에 나무를 심으면 다른 지역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및 기후완화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우주 태양광' 무탄소 전력의 대안?..."유럽 재생에너지 80% 대체 가능"

정지궤도 위성에서 수집한 태양광(SBSP)으로 전력을 생산하면 유럽지역 재생에너지의 80%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우주 태양광'이 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