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정부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백신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다국적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가 함께 개발한 백신 'AZD1222'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2회 접종이 필요하며, 3상 임상시험 초기 데이터 분석 결과 백신의 예방효과는 투약 방법에 따라 70∼90%였다. 공급가격은 1회 접종하는데 3∼5달러(약 3000∼5500원)이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화이자를 비롯해 모더나, 존슨앤존슨, 노바백스 등 개별 백신업체들과 진행하고 있는 협상을 조만간 마무리하고, 이르면 다음주에 계약 현황과 확보한 백신 물량을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영국 정부는 미국에 앞서 지난 2일 화이자를 긴급승인한 바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이달 10일 전문위원회를 열어 화이자의 긴급승인을 의결할 예정이다.
그러나 최종 확보하게 될 백신의 양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전 국민의 60%에 해당하는 3000만 명보다 꽤 더 많은 양의 계약을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내년도 예산에도 접종 대상을 4400만명으로 늘리기 위한 백신 구매비 9000억원이 배정된 상태다.
미국 화이자가 개발한 백신은 임상결과 예방률이 95%로 나왔지만, 영하 70도를 유지한 채 유통해야 하고 가격이 1회분에 19.5달러(약 2만1000원)로, 아스트라제네카보다 몇 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예방률이 94.5%로 나온 모더나 백신의 가격은 이보다 더 비싼 1회분에 25달러(약 2만8000원)~37달러(약 4만1000원) 사이가 될 전망이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과 달리 일반 냉장고에서 6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백신 예방률은 평균 70%로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보다 떨어지지만 1회 접종시 절반을 맞고 한달 뒤 2회 접종하면 예방률이 최대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