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증가 덕분?...편의점 개수는 '주춤' 매출은 '쑥'

김민우 기자 / 기사승인 : 2020-12-30 10:42:11
  • -
  • +
  • 인쇄
지난해 프랜차이즈 21만6000개 중 편의점 4만1000개
프랜차이즈 매출규모 74.2조...편의점 매출규모 22.8조
국내 4만개가 넘는 편의점의 점포당 연간 매출액은 5억5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편의점 수는 0.2%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편의점당 매출액 증가율은 8.4%에 달했다. 이는 혼밥이나 혼술을 즐기는 1인가구들이 주로 편의점을 이용하는데다, 편의점 프랜차이즈별로 독자 제품개발과 취급제품을 확장한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프랜차이즈 잠정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매장은 21만6000개로, 이 가운데 19.2%에 달하는 4만1444개가 편의점이다. 74조2130억원에 달하는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편의점 비중은 30.8%에 이르는 22조8630억원으로 조사됐다.
                                                                                                                         (자료=통계청)

프랜차이즈 1곳당 연간 매출액이 3억4000만원인데 비해, 편의점 1곳당 연간 매출액은 5억5170만원이다. 1년 사이에 늘어난 편의점 개수는 85개에 불과했지만 매출 증가액은 1조7680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한해 편의점 1곳당 매출이 4000억원가량 늘었다는 의미다.

점포당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은 의약품 프랜차이즈로, 연간 10억570만원을 벌었다. 자동차 수리(4억6980만원)와 제과점(4억51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코인 빨래방 등을 비롯한 가정용 세탁업종의 경우 가맹점당 매출액이 1억700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전년대비 매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업종은 치킨이었다. 전년대비 점포가 631개 늘어난 치킨 프랜차이즈는 가맹점당 매출액이 2억580만원으로 전년대비 21.7% 증가했다. 김밥·간이음식(12.1%)과 가정용 세탁(10.7%)도 매출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가맹점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프랜차이즈는 한식 업종이다. 한식 프랜차이즈는 지난 한해동안 1816개가 늘어나 총 3만1025개가 됐다. 증감율로 따지면 피자·햄버거 프랜차이즈가 7.9%로 가장 높다. 피자·햄버거 업종은 지난 한해동안 910개가 늘어 1만2486개가 됐다.

                                                                                                                           (자료=통계청)

프랜차이즈 종사자 수는 84만8000명으로 전년대비 3.9%(3만2000명)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임금 근로자가 55만1000명(65.0%), 비임금 근로자가 29만7000명(35.0%)이었다. 임금 근로자를 포함한 프랜차이즈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은 8750만원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여성 프랜차이즈 종사자가 50만7000명(59.8%)으로 남성(34만1000명, 40.2%)보다 많았다. 제과점(79.4%), 두발 미용(78.6%), 의약품(77.4%), 커피·비알코올음료(75.7%) 업종에서 여성 종사자가 특히 많았다.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역시 편의점으로, 지난해 총 19만3000명이 편의점 가맹점에서 일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러쉬 '후탄' 배쓰 밤 출시...수익금 75% 멸종위기종 보호에 기부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메시지를 담은 '후탄(Hutan)' 배쓰 밤을 선보였다

카카오, 합병 11년만에 다음 분사...'다음준비신설법인' 설립

카카오가 다음을 합병한지 11년만에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카카오는 22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포털 다음(Daum)을 담당하는 콘텐츠CIC를 '다음준비신설법

국립환경과학원·SK하이닉스 '반도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맞손'

반도체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SK하이닉스가 협력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2일 경기 이천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기후/환경

+

대선 후보 '기후공약' 첫 TV토론...탄소감축 방안 '극과극'

대통령선거 TV토론에서 처음으로 기후와 환경을 주제로 한 토론이 진행됐다.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

엘니뇨 물러간 올여름 작년보다 덜 덥고 비 많다

엘니뇨가 물러간 올여름은 지난해보다 폭염은 덜해질 수 있지만 비는 더 많이 쏟아질 예정이다.23일 기상청은 '6~8월 3개월 전망'에서 올여름 기온은 평

기상인력 수백명 해고됐는데...美 허리케인 10개 강타 예고

올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최대 10개의 허리케인이 미국을 강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30년간 해마다 평균 7개의 허리케인이 강타한 것과 비교

호주 남동부 역대 '최악의 홍수'...4만8000명 고립

호주 남동부 뉴사우스웨일즈주에 역대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홍수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만8000명이 고립됐다.23일 호

펭귄 똥에서 나오는 암모니아...기후변화 영향 줄인다

남극 펭귄들의 배설물(guano)에서 방출되는 암모니아가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3일 핀란드 헬싱키대학 매

370마리 남은 북대서양 참고래...저출산으로 사라질 위기

북대서양 참고래가 매년 50마리의 새끼를 낳아야 명맥이 유지되는데 해마다 출산하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수년 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20일(현지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