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5 16:54:26
  • -
  • +
  • 인쇄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학 연구팀은 한 번에 수십억개의 원자를 시뮬레이션하는 AI 모델인 '알레그로FM'(Allegro-FM)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탄소중립 콘크리트 소재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이끈 나카노 아이치로 USC 교수는 "개발된 콘크리트 소재는 배출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고대 로마의 콘크리트를 모방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길다"고 강조했다. 현대 콘크리트의 수명은 평균 약 100년인데 비해 고대 로마 콘크리트의 수명은 2000년 이상에 달한다. 나카노 교수에 따르면 "여기에 탄산염을 넣으면 콘크리트가 더 견고해진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알레그로FM을 이용해 실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십억개의 원자를 동시에 시뮬레이션해 다양한 콘크리트용 화학물질을 테스트했고, 그 결과 탄소흡수원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 소재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알레그로FM은 콘크리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에 재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시뮬레이션 가능한 원자수가 수천~수백만개로 한정돼 있었다. 반면 알레그로FM는 아르곤국립연구소의 오로라 슈퍼컴퓨터로 40억개 이상의 원자를 97.5%의 효율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방식보다 연산력이 약 1000배 더 뛰어나다.

켄이치 노무라 USC 교수는 "콘크리트는 여러 재료와 다양한 공정을 거치는 복잡한 재료로 콘크리트 소재를 시뮬레이션할 방법이 없었지만 알레그로FM을 사용해 기계적, 구조적 특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실제 이 콘크리트를 생산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의견이다.

한편 콘크리트는 생산과정에서 막대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 생산은 현재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8%를 차지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물리화학레터스 학술지(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Letter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