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이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미국 내 생산거점 확보를 앞두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셀트리온의 미 공장 인수는 미국의 의약품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중인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이하 DS) c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생산 시설로, 미국 내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
해당 공장의 피인수 기업명을 포함한 관련 상세 내용은 양측간 협의에 따라 오는 10월 초순으로 예상되는 계약 체결일까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공장 인수 및 운영에는 7000억원 정도가 투입될 것"이라며 "미국 관세 범위에 따라 증설할 경우 추가로 3000~7000억원이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8월부터 10월 첫째 주까지 본계약을 추진한다고 하면 미국 정부 승인까지 거쳐 연내 해당 시설을 100% 인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금 조달은 자체 조달과 금융기관 협조가 병행될 예정이라고 했다.
올 4분기 공장 경영을 시작하고 내년 하반기에 셀트리온 제품을 병행 생산할 것으로 내다본 서 회장은 "이번 인수로 올해 매출목표 5조원이 일부 조정될 수 있지만 큰 틀에서는 유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서 회장은 공장 인수를 결정한 배경에 대해 "미국에 백지상태로 공장을 짓는 것보다 경제적, 기간적 측면에서 인수가 나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인수를 통해 미국 관세 리스크를 해결을 위한 마지막 단계로 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확정 실사(Due Diligence) 이후 공장 인수가 마무리되면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어 의약품 관세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해당 cGMP 시설의 50%는 CMO 계약을 통해 피인수 회사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할 수 있어 인수 후 바로 수익 창출이 가능한 점도 큰 장점이다. 이에 따라 투자금 회수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잔여 50%에서는 미국 내 판매 중인 셀트리온의 주요 제품들을 생산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미국 내 의약품 판매 추이와 신규 제품 출시 타임라인 등을 고려해 추가 증설도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송도 2공장의 1.5배 수준까지 생산 캐파 확장이 가능하다. 현지 생산 캐파 확대를 통해 현지 시장 대응력을 키우는 한편, 미국에서 판매될 후속 신규 제품군도 일찌감치 관세 영향권에서 탈피시킨다는 전략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이번 공장 인수를 마무리하면 경제성과 사업성을 갖춘 최적의 시설을 미국에서 확보하게 돼 최단기간 내 미국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할 전망"이라며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요 제품들의 점유율 가속화를 이끌 계기가 마련되고 있는 만큼, 기회를 살려 퀀텀 점프를 이뤄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서 회장은 "이번 투자가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와는 무관하다"며 "CDMO 관련 투자는 미국 관세 정책이 좀 더 명확해지는 시기에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셀트리온홀딩스가 8월 5일부터 2500억원 규모 셀트리온 주식을 매수할 계획이라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