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한국산' 제품 불티나게 팔렸다...자동차 수출 40% '껑충'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2-01 15:03:07
  • -
  • +
  • 인쇄
1월 수출액 480.1억달러 기록...9개월 연속 무역 흑자행진
고부가가치 품목 성장세 '뚜렷'...10대품목 3개월 연속 증가

지난해 12월 4.4%나 감소했던 자동차 수출이 올 1월 무려 40.2%나 껑충 뛰면서 2017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전기자동차 등 수요가 증가하고, 코로나19로 자가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가의 자동차 수출이 두 자릿수로 증가한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개한 '1월 수출실적'에 따르면 전세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1.4% 늘어난 480억1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산뜻하게 2021년을 출발했다. 1월 수입은 3.1% 늘어난 440억5000만달러였지만 수출이 대폭 늘면서 39억6000만달러의 무역흑자를 냈다. 9개월 연속 흑자행진이다.

수출이 2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늘어난 것도 2017년 8∼9월 이후 40개월 만이다. 1월 총수출액 480억1000만달러는 역대 1월 실적 가운데 두번째로 높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도 6.4% 늘어난 21억3000만달러로 집계됐다. 1월 하루평균 실적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21억달러를 넘어서, 역대 1월 최고치를 달성했다.

▲왼쪽은 수출 증감율 추이(%), 오른쪽은 수출액 추이(억달러)

◇고부가가치 품목 약진 덕분에 수출단가 29.9% 증가

수출액 증가요인은 수출단가가 높아진 덕분이다. 수출단가는 3년 9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29.9%)를 보였다. 시스템반도체(16%), 전기차(81%), OLED(52.1%), 의료기기(64%), 바이오헬스(66.5%) 등 고부가가치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수출성장을 견인했다. 농수산식품(12.8%), 화장품(62.6%) 등 유망품목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주력 수출 15대 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 등 12대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12대 품목은 반도체(21.7%), 자동차(40.2%), 철강(6.0%), 석유화학(8.6%), 선박(23.4%), 디스플레이(32.2%), 차부품(3.9%), 무선통신기기(58.0%), 컴퓨터(5.7%), 이차전지(9.9%), 바이오헬스(66.5%), 가전(19.1%) 등이다. 주력 수출 10대 품목이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40개월만에 처음이다. 

특히 IT 관련 품목이 수출세가 두드러졌다. 반도체 수출은 21.7% 증가해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이어갔고 무선통신기기(58.0%), 디스플레이(32.2%)는 각각 16년여만, 10년 만에 최고 증가율을 나타냈다. 무선통신기기는 16년 8개월만에, 디스플레이는 10년 8개월만에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달 4.4% 감소에서 1월 40.2% 증가로 돌아서며 2017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선박도 부유식해양 구조물의 통관 등으로 23.4%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바이오헬스는 1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다. 

▲15대 품목별 1월 수출증감률(%)

◇ '미·중·EU' 40개월만에 20% 이상 성장

올 1월에는 9개 수출지역 가운데 5개 지역에서 수출이 늘었다. 특히 미국과 중국, EU 등 3대 시장은 40개월만에 모두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 수출은 83억9000만달러를 기록해 월 수출액 기준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대형 선박을 비롯한 자동차·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수출이 늘어난 덕분이다.

중국은 기저효과 영향과 IT품목 및 석유제품 수출호조 등으로 지난 2018년 8월 이후 29개월만에 22% 증가하면서 20%대를 회복했다. 지난해 1월 대중국 수출은 춘절과 코로나19 영향으로 11% 감소했다. 

EU는 코로나19 진단키트와 친환경 LNG선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23.9% 수출이 늘면서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EU의 선박수출은 무려 4083.7% 늘었고, 진단키트 등 바이오헬스 수출은 177.8% 증가했다.

반면 아세안 지역 수출은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이 늘었던 일본은 8.5% 줄었다. 중동은 13.2% 감소하면서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올해는 수출 반등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수출품목 다양화와 고도화,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육성 그리고 이를 통한 수출 저변확대, 디지털 무역활성화 등 수출시스템의 고도화 등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주요 지역별 1월 수출 증감률(%)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