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펄펄 끓는 '한국라면'...오징어게임 광풍에 판매 '불티'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10-05 15:31:39
  • -
  • +
  • 인쇄
신라면, 3분기 해외매출 국내매출 넘어
오뚜기 등도 해외매출 비중 꾸준히 증가
삼양라면, 미국과 중국 잇달아 법인설립
▲신라면을 즐기는 사람들 (사진=농심)

글로벌 식품 시장에서 한국의 라면 'K-누들'의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코로나19로 인한 간편조리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라면들이 해외에서 승승장구하는 모습이다. 이에 농심과 오뚜기, 삼양식품 등 라면업체들의 해외 매출 비중도 꾸준히 커지고 있다.

농심은 올 3분기까지 신라면의 해외 매출액이 국내매출을 넘어섰다고 5일 밝혔다. 올 3분기까지 신라면의 누적 매출액은 6900억원으로, 이 가운데 해외 매출은 3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매출의 53.6%를 해외시장에서 거둔 것이다. 1986년 출시 이후 해외 매출이 국내 매출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심측은 "신라면은 세계 100여개국으로 수출되며 K푸드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면서 "현 추세대로 간다면 신라면은 올해 해외매출 5000억원을 포함, 총 93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했다.

오뚜기 역시 지속적으로 해외 매출액과 비중이 늘고 있다. 분기보고서 등에 따르면 오뚜기의 올 2분기 매출액은 6687억원인데 이 중 해외 매출은 738억원으로 11% 정도다. 1분기 해외 매출액은 678억원(9.7%), 작년 4분기는 549억원(8.7%)였다. 올해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이 두자릿수를 넘긴 것이다.

불닭볶음면 등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삼양식품은 최근 해외법인을 잇따라 설립하며 해외시장 공략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삼양식품은 지난 8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삼양아메리카'를 설립한 데 이어 오는 12월 중국 상하이에 '삼양식품상해유한공사'를 설립한다고 이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불닭볶음면 인기로 수출이 증가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4년간 해외부문의 연평균성장률은 41%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6%에서 57%로 크게 늘었다. 여기에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전세계 83개국에 서비스되는 K-드라마 '오징어게임'이 글로벌 1위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드라마에 등장했던 삼양라면도 덩달아 주목을 받고 있어, 올해 해외매출이 회사 기대치를 상회할 전망이다.  

▲'오징어게임'에 등장하는 삼양라면

이처럼 한국 라면 제품, 'K-누들'은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 나날이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다. 업계에 따르면 '618 쇼핑 축제' '광군제' 등 중국 쇼핑 행사에서 신라면과 불닭볶음면 등 한국산 라면은 매년 판매 랭킹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역시 한국 라면에 대한 인지도 상승과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성장세가 가파르다.

농심은 '한국적인 맛이 가장 세계적인 맛'이라는 농심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이 주효했다고 자평했다. 1986년 출시된 신라면은 이듬해인 1987년 수출을 시작하며 세계무대로 나섰다. 앞서 1971년부터 미국 LA지역에 라면을 수출하며 해외시장에서 발을 넓혀오던 농심은 신라면의 맛을 그대로 들고 나갔다. 이후 해외 생산기지와 판매법인을 확대하면서 세계 100여개국으로 진출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 문화가 해외에 널리 알려지고 유행하면서 한국의 식문화, 그 중 조리가 간편한 라면의 인기도 함께 수직상승했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홈쿡(Home cook) 트렌드가 번지며, 간편하고 맛있는 라면이 주목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영화나 SNS 등에서 다양한 취향에 따라, 그리고 재밌거나 더 맛있게 라면을 조리하는 방법도 확산되면서 라면의 인기는 당분간 시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기후/환경

+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