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시간없다...기후대응 지금 아니면 못해"

기후전문가들이 '기후위기를 저지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로 불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각국이 달성해야만 하는 최소한의 목표치를 제시했다.
국제 기후위기자문단(CCAG)은 28일(현지시간) 미래 세대가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세계 정상들이 COP26에서 합의해야만 하는 5가지 사항을 담은 보고서 'COP26: 결정적 순간'을 발간했다.
제시된 5가지 목표는 △공정하고 질서있는 화석연료의 퇴출 △지리적·경제적 여건을 막론하고 시장 전반에 걸친 탄소가격 책정 △항공·해운산업의 화석연료 사용에 대한 세금 부과 △온실가스 농도를 500ppm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저소득 국가에 지원기금 마련 △북극해의 얼음을 복원하기 위한 방안 및 기금 마련 등이다.
최근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세를 추진하면서 각국이 탈탄소 움직임을 가속화하도록 압박하자 본인들의 과거를 망각하고 후발주자들을 막는 EU의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CCAG는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유예기간을 주고, 친환경 전환기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CCAG는 특히 북극 주변 얼음이 줄어들면서 여름철 백야가 지속되는 동안 기존에는 얼음에 반사됐던 햇빛이 바닷물에 그대로 흡수되고 있다고 짚었다. 북극은 현재 세계 평균 대비 기온상승 속도가 3배 이상 빠르며, 특정 한계치를 넘어서면 기후변화가 돌이킬 수 없이 가속화하는 '임계점'이 15개 존재한다. 이들 임계점은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대응 불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해버린다.
이밖에도 CCAG는 위 5개 목표가 현실화될 수 있도록 3가지 의제가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파리기후변화협정은 각국이 자율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기온 상승을 1.5~2℃로 제한하도록 강제하고 있지는 않다며 투명성과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둘째로 기존 친환경전환기금을 약속대로 이행할 것, 마지막으로 자연환경의 이산화탄소 흡수원을 보존할 것을 요구했다.
CCAG 위원장 데이비드 킹 경은 "COP26은 공식적인 협상 그 이상을 이뤄야만 한다"며 "우리는 계속해서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다 돼가고 있다'고 이야기하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이제 주어진 시간은 없다. 지금 아니면 못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