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중심 기후대응보다 생태적 접근방식 필요
지난 11월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제시된 기후대응 해결책들이 생태중심적이 아니라 기술중심적인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탈리아 지속가능경영 컨설팅업체 라이프게이트(Lifegate)는 29일(현지시간) 이같은 이유를 근거로 COP26이 제시한 기후대응 해결책이 '가짜'라고 비판했다. 이는 COP26 내부 행사 대부분이 문을 닫아 걸고 비공개로 진행됐고, 사람들의 목소리가 아닌 기업의 이익을 우선한 까닭에 문제의 핵심을 짚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라이프게이트에 따르면 기후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업환경을 중심으로 한 생태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산림벌채와 같은 생태계 파괴의 90%가 영농산업과 연계된 식품산업에 의해 발생하며,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세계 배출량의 57%에 달하기 때문이다. 또 전체 경작지 가운데 80%가 단일재배를 하고 있고, 여기에 화학비료가 땅과 물을 오염시키면서 생물다양성이 훼손되고 있다. 결국 경작지 주변에서 사막화가 진행되면서 추가로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COP26은 기후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을 파고들지 못한 '그린워싱의 장'이었다고 라이프게이트는 설명했다. 식품산업계를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지목하기는커녕 농업 디지털화, 기후변화에 강한 유전자변형생물체(GMO) 작물, 배양·인조식품, 탄소상쇄 등 기술적인 부분에서 투자유치에만 골몰하면서 곁다리만 짚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같은 기술적 해결책은 지역사회와 유기농 농민단체의 정치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생명공학 기업들과 거액의 투자자들에게 힘을 실어주면서 사태를 악화시킨다.
또 COP26에서 논의된 탄소배출권이나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을 통한 '탄소상쇄책'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우선 지구온난화와 해양산성화는 온실가스 누적의 결과인데, 탄소상쇄책은 누적효과가 아닌 현재 배출량에만 집중한다. 또 기업들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토지횡령을 부추기게 된다.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그대로 배출하면서 개발도상국의 값싼 토지를 사들여 탄소상쇄를 위해 나무를 심게 되면 이들 국가의 식량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라이프게이트는 "자연을 죽은 것으로 보고, 기업의 이익을 위해 마음대로 주무르고 조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계적 세계관이 문제"라며 "저지른 짓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기술혁신이 마치 유일한 해결책인양 빙빙 도는 방식으로는 기후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서 각국이 유기농업과 생태계 복원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