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꿀벌 사라지면 인류 멸종하는데...해남 꿀벌 실종원인은 '기후변화'

조인준 기자 ·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8 16:26:30
  • -
  • +
  • 인쇄
농진청 역학조사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동면 들어야 할 꿀벌이 기온오르자 채밀 활동
▲벌이 사라진 벌통 (사진=연합뉴스)


전라남도 해남군 양봉 농가에서 수백만 마리의 꿀벌이 한꺼번에 사라진 원인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18일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 최용수 박사는 뉴스트리와 전화통화에서 "해남지역에서 꿀벌이 한꺼번에 사라진 원인은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밝혔다. 당초 감염병에 의해 꿀벌이 사라지거나 폐사한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양봉농가 사이에서 나돌았지만 농진청의 역학조사에서 감염병이 아닌 이상기후로 인한 집단폐사로 밝혀졌다.

해남지역 양봉농가에서 키우던 꿀벌들이 집단폐사하거나 갑자기 사라지는 사건이 알려진 것은 이달초다. 그러나 이같은 사건은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이어졌던 것으로 밝혀졌다. 해남지역에 있는 약 2만통의 벌통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같은 피해를 입었다. 이에 농진청은 역학조사에 들어갔다.

꿀벌은 기온이 떨어지면 활동량을 줄이고 겨울나기(월동)에 들어간다. 벌통에서 서로 뭉치면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다. 꿀벌의 월동 시기는 기온이 떨어지는 11월~3월 사이다. 

그런데 역학조사 결과, 지난해 11월~12월 해남지역 낮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훨씬 높은 13.5도에 달했다. 기온이 높아지니 꿀벌들은 월동에 들어가지 않고 가장 따뜻한 오후 2~3시에 꿀채집에 나섰다. 여기에 일교차까지 심해지면서 오후 4시 이후 기온이 뚝 떨어졌고, 이때까지 미처 벌통으로 되돌아가지 못한 꿀벌들은 추워서 죽어버렸다.

▲2021년과 평년 12월 일별 최고기온 비교 그래프, 기온 변동이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자료=기상청)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꿀벌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급기야 꿀벌로 가득차 있어야 할 벌통은 텅 비어버린 것이다. 최용수 박사는 "꿀벌들이 어느날 한꺼번에 사라진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지난해 꿀벌의 천적인 응애 발생이 심해 평년보다 살충제를 3배 이상 처방한 것도 이번 꿀벌 집단폐사의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응애에 시달리고 살충제로 인해 체력이 약해진 꿀벌들이 동면에 들지못하고 채밀에 나서면서 이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들의 약 63%가 꿀벌을 매개로 열매를 맺는다. 꿀벌이 꽃가루를 묻혀주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꿀벌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사라지면 전세계는 식량위기에 빠지게 된다. 그런데 최근 전세계 곳곳에서 일벌들이 나갔다가 돌아오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면서 벌집에 있던 애벌레와 여왕벌이 폐사하는 '군집붕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06년 미국의 양봉장에서도 벌의 25∼40%가 자취를 감추는 '군집붕괴' 현상이 벌어졌다.

이번에 해남에서 발생한 꿀벌 실종사건도 '군집붕괴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용수 박사는 "꿀벌은 사회적 곤충이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며 "일벌 개체수가 10%만 감소해도 군집붕괴가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박사는 "꿀벌이 사라지면 식량위기뿐만 아니라 식물들이 번식을 못하면서 탄소흡수량도 줄어들어 기후위기는 더 심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