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전 빙핵에 타이어 분진이?...극지방에서 나노플라스틱 첫 발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5 08:20:02
  • -
  • +
  • 인쇄
그린란드와 남극 빙핵에서 미세플라스틱 발견
"인구밀집지역 나노플라스틱 오염은 더 심할것"


미세플라스틱에 이은 나노플라스틱이 극지방에서 발견됐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학의 두샨 마테리치 교수 연구팀은 그린란드 만년설과 남극의 빙핵을 분석한 결과 모두 나노플라스틱에 오염돼 있고, 그린란드 빙하는 최소 50년 전부터 나노플라스틱에 오염돼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나노플라스틱이 극지방까지 퍼져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플라스틱 오염이 이미 전세계에 만연해 있다는 사실이 다시한번 입증된 것이다. 나노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이 나노미터 크기로 쪼개진 것으로, 1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크기다. 

그린란드 빙하는 깊이 14m로, 연구진은 1965년도에 형성된 빙핵에서 샘플을 채취했다. 그런데 여기서 자동차 타이어 성분의 나노플라스틱 입자가 나온 것이다. 50년 전부터 타이어 분진이 빙하에 갇혀있었던 셈이다.

연구에 따르면 그린란드에서는 녹은 얼음 1밀리리터(mL)당 13ng(나노그램)의 나노플라스틱이 발견됐으며, 남극 얼음에서는 4배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원인이 해빙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입자가 농축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했다.

그린란드에서 발견된 나노플라스틱의 절반은 일회용 비닐봉지와 포장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이었다. 25%는 자동차 타이어 분진이고, 20%는 음료수 병 및 의류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였다.

남극에서 발견된 나노플라스틱도 PE가 절반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식품용기와 파이프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이 많았다. 인구 밀집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남극 대륙에서는 타이어 입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북극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자, 마테리치 교수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보다 훨씬 더 작은 나노 입자를 분석하기 위해 새로운 검출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빙핵에서만 샘플을 채취했다. 또 순수한 물을 대조용 샘플로 이용해 분석을 진행했다. 마테리치 교수는 이미 이전 연구를 통해 타이어 먼지가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 그 증거를 제시한 것이다.

마테리치 교수는 "놀라운 점은 나노플라스틱을 발견했다는 사실이 아니라 빙핵 아래에서 발견했다는 것"이라며 "나노플라스틱은 새로운 오염물질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수십년 동안 존재해왔다"고 밝혔다.

나노플라스틱은 이미 전세계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보다도 더 작고 가벼운 입자로, 북아메리카 및 아시아에서 바람을 타고 그린란드까지 날아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남극 맥머도 사운드의 해빙에서 발견된 나노플라스틱은 해류에 의해 운반됐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플라스틱 오염 수준이 인류를 위협할 정도로 만연해졌다고 보고 있다. 이미 미세플라스틱은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부터 바다 깊은 곳까지 발견됐으며 사람들은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고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한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세포에 손상을 입힌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미세플라스틱보다 입자가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 역시 영국의 강과 북대서양의 바닷물, 시베리아의 호수, 오스트리아 알프스 등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마테리치 교수는 나노플라스틱 오염이 가장 심한 곳은 인구 거주지라고 진단했다.

연구진은 "나노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며 "유기체에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인간이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되면 세포독성과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연구결과는 환경연구(Environmental Research) 학술지에 발표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기후/환경

+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