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새들...지구상 5000종 넘는 조류들 '개체 감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5-06 18:00:20
  • -
  • +
  • 인쇄
1만1000종 조류 가운데 48%가 개체수 감소
서식지 파괴, 기후위기, 살충제 등 '인간때문'


기후변화 요인 외에도 농업과 살충제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수십억 마리의 조류가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인류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전세계 조류 1만1000여종 가운데 절반 가까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가 '연례환경자원검토'(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학술지에 발표됐다. 증가세는 고작 6%에 그치고 있어 조류의 대량멸종이 우려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조류 종의 약 48%가 개체 감소를 겪고 있다. 39%의 종은 개체수가 간신히 유지되는 수준이고, 7%는 추세를 파악할 수 없었다. 개체수가 증가하는 조류종의 비중은 겨우 6%에 그쳤다.

유럽 농경지에서 서식하는 조류 종들은 1980년 이후 무려 57%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는 값싼 식량을 공급하는 집약농업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캐나다의 조류 개체수는 1970년 이후 30억마리 감소했으며, 유럽에서는 1980년 이후 6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라틴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도 최근 조류가 감소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들은 인간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서식지 파괴, 기후위기, 살충제 및 기타 오염, 남획과 외래종, 질병 등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캐나다에서만 매년 270만마리의 새가 살충제를 먹고 죽는다. 또 미국에서는 집고양이가 연간 새 24억마리를 죽일 수 있다. 가장 위협받는 부류는 앵무새, 알바트로스, 두루미, 호주숲칠면조 등 몸집이 크고 번식기간이 오래 걸리는 종들이다.

북미와 유럽에서만 최근 수십년간 수십억 마리의 새가 사라졌다. 온대기후 국가 및 부유한 국가에서는 더 높은 비율의 조류가 멸종위기에 놓여있다. 각국에 멸종위기 조류가 최소 1종 이상 서식중이다. 특히 10개국은 멸종위기 조류가 75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988년 이후 보존 작업을 통해 멸종위기종을 70종으로 낮췄지만 그보다 훨씬 웃도는 391종이 위험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외적으로 북미와 유럽의 습지에 서식하는 물새는 1970년 이후 개체수가 13% 증가했다. 연구진은 습지지역이 초원이나 숲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복원이 보다 수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보고서는 "인간의 배출량 증가는 조류 생물다양성에 위협을 미친다"며 "조류 보존에 진전이 없다는 것은 지식 부족이기 보다 자원이나 정치적 의지의 부족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해당 연구는 남극대륙 200km 내륙에 둥지를 트는 남극풀마갈매기(Antarctic petrel)부터 아타카마사막에 서식하는 고리바다제비(Hornby’s storm-petrel)까지 다양한 조류에 주목하고 있다. 루펠독수리(Rüppell’s vulture)는 해발 1만1300미터의 고도를 날며, 황제펭귄은 해수면에서 500미터 이상 잠수할 수 있다고 보고됐다.

새는 씨앗을 퍼뜨리고 해충을 잡아먹는 등 생태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문화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연구진은 "보존 노력이 멸종위기에 몰린 개별 종을 구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세계적인 감소추세는 되돌리지 못했다"면서 "정치적 의지와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트리샤 주리타(Patricia Zurita) 국제생물보존기구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 CEO는 "생태계 변화에 대한 민감성, 지구상의 편재성 그리고 연구상 수월함을 감안할 때 새들은 지구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들이 점점 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며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스튜어트 핌(Stuart Pimm) 미국 듀크대학 교수는 연구결과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며 "모든 조류종의 약 3분2가 열대우림에 살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은 그 서식지를 축소시키고 개체수를 줄이고 있다"고 했다.

연구를 주도한 알렉산더 리스(Alexander Lees)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 박사는 "현재로서는 멸종위기종을 분류하는 데 그칠 뿐 멸종을 향한 흐름을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사실에 무력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고 말하면서도 "모두가 새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리스 박사는 브라질 산림벌채 등 환경파괴와 관련된 기업의 제품을 소비하지 말고 자연을 위해 정원 안에 가능한 한 많은 면적의 땅을 남겨두고, 투표로 기후지도자를 선출할 것을 권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미래세대 위한 친환경 에너지교육 지원 확대

코오롱그룹이 미래세대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지원에 적극 나선다. 코오롱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에 참여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기후/환경

+

산불 커질만 했네…3월 한반도 기온·풍속 모두 이례적

의성, 안동, 산청 등 영남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빠르게 확산됐던 지난달 우리나라는 이상고온과 이상건조, 이례적 강풍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 기후목표에 매몰되면 농경지 12.8% 감소할 것"

1.5℃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전세계 정책이 전세계 농경지 면적을 약 12.8% 줄이는 결과를 초래해 식량 위기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