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 파괴, 기후위기, 살충제 등 '인간때문'
기후변화 요인 외에도 농업과 살충제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수십억 마리의 조류가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인류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전세계 조류 1만1000여종 가운데 절반 가까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가 '연례환경자원검토'(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학술지에 발표됐다. 증가세는 고작 6%에 그치고 있어 조류의 대량멸종이 우려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조류 종의 약 48%가 개체 감소를 겪고 있다. 39%의 종은 개체수가 간신히 유지되는 수준이고, 7%는 추세를 파악할 수 없었다. 개체수가 증가하는 조류종의 비중은 겨우 6%에 그쳤다.
유럽 농경지에서 서식하는 조류 종들은 1980년 이후 무려 57%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는 값싼 식량을 공급하는 집약농업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캐나다의 조류 개체수는 1970년 이후 30억마리 감소했으며, 유럽에서는 1980년 이후 6억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집계됐다. 라틴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도 최근 조류가 감소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들은 인간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서식지 파괴, 기후위기, 살충제 및 기타 오염, 남획과 외래종, 질병 등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캐나다에서만 매년 270만마리의 새가 살충제를 먹고 죽는다. 또 미국에서는 집고양이가 연간 새 24억마리를 죽일 수 있다. 가장 위협받는 부류는 앵무새, 알바트로스, 두루미, 호주숲칠면조 등 몸집이 크고 번식기간이 오래 걸리는 종들이다.
북미와 유럽에서만 최근 수십년간 수십억 마리의 새가 사라졌다. 온대기후 국가 및 부유한 국가에서는 더 높은 비율의 조류가 멸종위기에 놓여있다. 각국에 멸종위기 조류가 최소 1종 이상 서식중이다. 특히 10개국은 멸종위기 조류가 75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988년 이후 보존 작업을 통해 멸종위기종을 70종으로 낮췄지만 그보다 훨씬 웃도는 391종이 위험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외적으로 북미와 유럽의 습지에 서식하는 물새는 1970년 이후 개체수가 13% 증가했다. 연구진은 습지지역이 초원이나 숲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복원이 보다 수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보고서는 "인간의 배출량 증가는 조류 생물다양성에 위협을 미친다"며 "조류 보존에 진전이 없다는 것은 지식 부족이기 보다 자원이나 정치적 의지의 부족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해당 연구는 남극대륙 200km 내륙에 둥지를 트는 남극풀마갈매기(Antarctic petrel)부터 아타카마사막에 서식하는 고리바다제비(Hornby’s storm-petrel)까지 다양한 조류에 주목하고 있다. 루펠독수리(Rüppell’s vulture)는 해발 1만1300미터의 고도를 날며, 황제펭귄은 해수면에서 500미터 이상 잠수할 수 있다고 보고됐다.
새는 씨앗을 퍼뜨리고 해충을 잡아먹는 등 생태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문화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연구진은 "보존 노력이 멸종위기에 몰린 개별 종을 구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세계적인 감소추세는 되돌리지 못했다"면서 "정치적 의지와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트리샤 주리타(Patricia Zurita) 국제생물보존기구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 CEO는 "생태계 변화에 대한 민감성, 지구상의 편재성 그리고 연구상 수월함을 감안할 때 새들은 지구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들이 점점 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며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스튜어트 핌(Stuart Pimm) 미국 듀크대학 교수는 연구결과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며 "모든 조류종의 약 3분2가 열대우림에 살고 있으며 인간의 행동은 그 서식지를 축소시키고 개체수를 줄이고 있다"고 했다.
연구를 주도한 알렉산더 리스(Alexander Lees)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 박사는 "현재로서는 멸종위기종을 분류하는 데 그칠 뿐 멸종을 향한 흐름을 막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사실에 무력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고 말하면서도 "모두가 새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리스 박사는 브라질 산림벌채 등 환경파괴와 관련된 기업의 제품을 소비하지 말고 자연을 위해 정원 안에 가능한 한 많은 면적의 땅을 남겨두고, 투표로 기후지도자를 선출할 것을 권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