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부담 가중...국제협력 구축해야
기후위기로 잦아진 가뭄에 고향을 뒤로하는 '기후난민'이 최대 5배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스토니브룩대학교 올레그 스미르노프 부교수 연구팀이 일련의 기후위기 및 사회과학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금세기 내 가뭄으로 발생하는 이주민의 숫자가 2~5배 늘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디지털과학 매체 퓨처리티가 보도했다. 이들은 광범위한 이주에 따라 앞으로 발생하게 될 사회·정치적 변화에 대해 정책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2가지 시나리오로 진행됐다. 먼저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합의한 바와 같이 각국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긍정 시나리오'의 경우 가뭄으로 인한 이주민의 수는 200% 증가했다. 반면 각국 정상들이 기후위기 저감 조처를 시행하지 못하고, 지금처럼 통상업무 수준을 유지하는 '부정 시나리오'의 경우 이주민의 수는 500% 늘었다.
반대로 연구팀은 가뭄으로 황폐화된 주변 토지면적이 극도로 늘어나면서 발이 묶인 채 이주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인구수 역시 크게 늘 것으로 내다봤다. 마찬가지 시나리오로 검증했을 때 늘어나는 이주불가능 인구수는 '긍정 시나리오'의 경우 200%, '부정 시나리오'는 600%에 달했다.
스미르노프 부교수는 "이번 연구모델을 통해 환경적인 이유로 발생한 이주민뿐 아니라 필사적으로 떠나려 해도 떠나지 못하면는 '이주불가능 인구'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에 따라 사회적 고통과 불안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저자이자 전 유엔인구분과(UNPD) 고문을 맡았던 갈리아 라하브 이민전문가는 "환경적인 이유로 발생하는 이주민 대부분은 전쟁이나 분쟁 등으로부터 피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민협약 등 법적제도 바깥에 있다"며 "다자주의적 정책 관점에서 이 회색지대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논문을 통해 공개된 수치가 추정치에 불과하고, 사회과학분야의 특성상 여러 사회구조의 변수와 복잡성 때문에 실제 이주가 정확히 어떤 결과를 낳을지 단언할 수 없지만, 잠재적으로 사회가 감당해야 할 부담과 압박에 대해서는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논문에 따르면 온실가스 저감 조처 없이 21세기 말에 이르면 가뭄으로 인한 이주민들은 나이지리아, 이집트, 중국, 터키, 알제리, 멕시코, 모로코, 베네수엘라 순으로 가장 많이 발생할 전망이다. 가장 많은 이주불가능 인구가 발생하는 나라들은 터키, 멕시코, 모로코, 알제리, 브라질, 말리, 중국 순이었다.
스미르노프 부교수는 "전반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가뭄으로 인한 이주민들의 고통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에 투입되는 예산을 감안하면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저감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이득이라는 점을 확실한 증거로 뒷받침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