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기술' 차세대 유망산업으로 급부상....투자금 몰린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7-01 08:00:02
  • -
  • +
  • 인쇄
저마다 독창적 방법 내세운 신생기업들 러시
글로벌 큰손들 탄소포집기업에 앞다퉈 투자
▲ 스위스 탄소포집업체 클라임웍스는 아이슬란드 기업 카브픽스와 협력해 탄소포집및 영구격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사진=클라임웍스)


탄소포집기술에 도전하는 신생기업들이 늘어나면서 관련산업에 대한 투자가 몰리고 있다.

지난 4월 미국 금융소프트웨어기업 스트라이프(Stripe)는 알파벳(Alphabet), 메타(Meta), 쇼피파이(Shopify), 맥킨지(McKinsey)와 협력해 2030년까지 9억2500만달러 상당의 탄소포집 제품을 구입할 계획인 '프론티어 이니셔티브'(Frontier initiative)를 시작했다.

이런 물결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탄소배출 감축만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하면서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을 2배로 늘린 데 따른 것이다.

탄소포집은 이미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배출중인 배기가스를 포집하거나 탄소를 재활용하는 것과 다르다. 나무를 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전문가들은 나무심기만으로 기후변화를 해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탄소포집기술은 공기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추출해 암석에 주입하는 것부터 바다의 수소이온농도(pH)를 바꿔 대기에서 더 많은 탄소를 흡수시키는 방법까지 매우 다양하다.

지구 온도상승을 1.5℃ 또는 2℃ 이내로 유지하려면 방법론에 관계없이 이런 기술들을 빠르게 확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탄소제거기술에 많은 투자를 진행해온 브릭스루에너지벤처(Breakthrough Energy Ventures)의 기술책임자 에릭 툰(Eric Toone)은 "2050년에 배출량의 30%를 제거하려면 오늘날 전세계 석유화학 산업보다 3배~5배 더 큰 산업을 건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적인 탄소포집업체로는 클라임웍스(Climeworks)와 카본엔지니어링(Carbon Engineering)이 꼽힌다. 이들은 복잡한 화학공정이나 필터를 사용해 공기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 그러나 최근까지는 탄소를 매장할 유인이 없어 다양한 시장에 판매해야 했다. 가령 카본엔지니어링은 이산화탄소를 석유가스기업에 판매해 역으로 원유추출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했다. 이산화탄소를 유정 지하에 주입해 석유를 추출량을 늘리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는 격리되지만 원유 생산량이 늘어 탄소제거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 클라임웍스: 탄소를 암석에 주입

스위스기업 클라임웍스는 사업 초창기에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온실재배업 및 탄산음료 제조사에 판매했다. 그러다 2017년 탄소를 물에 녹여 현무암 암석에 주입해 영구 격리하는 아이슬란드 기업 카브픽스(Carbfix)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얀 뷔르츠바허(Jan Wurzbacher) 클라임웍스 공동설립자이자 공동대표는 "이산화탄소는 암석에 주입되면 후 2년 이내에 돌로 변한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응고된 탄소는 지하 1km 아래에서 수억년동안 격리된다.

스트라이프의 투자를 받은 클라임웍스는 지난해 아이슬란드에 신규 직접공기포집저장 공장을 설립했으며, 최근에는 탄소제거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인 6억5000만달러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 참인더스트리얼: 농작물 부산물로 탄소포집

미국 기업 참인더스트리얼(Charm Industrial)은 농장에서 버리는 줄기와 잎같은 잔여물을 가져다 탄소를 제거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작물의 부산물인 바이오매스와 대기에서 포집한 탄소를 바이오오일로 변환시켜 지하에 저장한다. 피터 레인하트(Peter Reinhardt) 대표는 이런 과정을 열분해라고 불렀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바이오매스를 아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고 몇 초 이내에 실온에서 500°C까지 가열하면 가열속도가 순식간에 올라가면서 셀룰로오스와 바이오매스가 증발된다. 이를 다시 액체, 바이오오일로 응축해 지하 깊숙이 주입해 응고시키는 것이다.

이 기업은 스트라이프를 필두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쇼피파이 등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 카본큐어: 탄소를 콘크리트에 주입

캐나다 기업 카본큐어(CarbonCure)는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혼합물에 주입한다. 이 방법은 탄소의 영구저장과 더불어 콘크리트를 더 튼튼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로버트 니븐(Robert Niven) 카본큐어 설립자이자 대표는 콘크리트에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시멘트의 칼슘과 반응해 광물을 형성한다고 설명했다. 콘크리트 강도는 더 높아진다. 이렇게 하면 혼합물에 들어갈 시멘트 비중을 줄여 산업공정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카본큐어의 콘크리트 생산파트너들은 에탄올 공장이나 정유소 등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고 있다. 이 회사는 전세계 약 600개 공장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방지하고 있다는 강조했다.

이 회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미국 직접공기포집업체 카본캡쳐(CarbonCapture)와 에너지부가 지원하는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제거에도 참여하기 시작했다. 현재 스트라이프를 비롯해 쇼피파이, 맵박스(Mapbox) 및 젠데스크(Zendesk) 등이 이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 플래네터리: 해양기반 탄소포집

캐나다 기업 플래네터리 테크놀로지(Planetary Technologies)는 해양기반 포집기술을 탄소제거 방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기업은 바닷물에 제산제를 첨가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대기와 해양의 이산화탄소 상대 농도가 항상 균형을 이루고 있어, 이산화탄소 함량을 줄여 바다의 산성도를 낮추면 바다는 공기중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 켈랜드(Mike Kelland) 플래네터리 테크놀로지 대표는 "단순히 제산제를 바닷물에 첨가해 해수의 산성 이산화탄소를 중화시키고 중탄산염으로 바꾸면, 감소한 이산화탄소 농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대기중 이산화탄소가 바다로 더 많이 흡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플래네터리는 올해 폐수처리시설에서 정화처리 후 바다로 보내는 폐수에 제산제를 첨가해 해양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쇼피파이의 투자를 받았다.


◇ 탄소시장의 필요성

이렇듯 탄소제거산업은 차세대 유망산업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지만 본격적인 산업화는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에릭 툰 기술책임자는 탄소포집 및 영구저장이 가능해지려면 탄소시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약 40개 국가와 20개 이상의 도시 및 주, 지방에서 탄소가격 책정방식을 시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탄소제거를 장려하기에는 가격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 현재 탄소가격은 지질학적으로 격리된 탄소가 1톤당 약 35달러, 콘크리트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탄소가 1톤당 약 22달러로 책정돼있다. 많은 업계 지도자들은 미 정부가 연방 탄소가격책정 제도를 시행하고 현재의 세액공제를 늘리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소제거는 워싱턴에서 초당적 지원을 받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최근 35억 달러를 투자해 미 전역에 4개의 직접공기포집허브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각 허브는 연간 1백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의 영구 제거를 목표로 하고 있다.

툰 기술책임자는 "이산화탄소의 결과를 처리하는 일보다 이산화탄소 자체를 처리하는 것이 더 저렴하다고 인식할 때, 탄소제거 방식으로 탄소가격을 매기는 시장을 정부차원에서 관리하게 될 것"이라며 "이런 탄소의 비용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