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가위' 기후변화 늦추는데도 활용...탄소흡수 높은 식물로 개량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7-15 16:15:38
  • -
  • +
  • 인쇄
美버클리대 IGI, 광합성 효율 향상 위한 연구 진행
GMO우려에 "결국 다른 선택지 남아있지 않을 것"
▲미국 캘리포니아주 벼논에서 토양내 미생물을 분석하는 혁신유전체학연구소(IGI) 연구진 (사진=IGI)


식물의 자연적인 탄소포집 기능을 유전자 조작으로 강화해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미국 버클리대학교 혁신유전체학연구소(IGI)가 이같은 연구 프로그램을 발표했다고 14일(현지시간) 내셔널지오그래픽이 보도했다. IGI는 '크리스퍼'(CRISPR) 기술의 공동개발자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박사가 설립했다. 크리스퍼 기술은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히 찾아내 쉽게 잘라내고 붙일 수 있어 '유전자 가위' 기술로도 불린다.

IGI는 식물 유전학자, 토양학자, 미생물학자들을 한데 모아 향후 3년간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키고, 이때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토양 속으로 더 많이 가두도록 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메타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와 프리실라 챈(Priscilla Chan)이 운영하는 챈-저커버그 재단에서 1100만달러(약 146억원)의 연구비 지원을 받고 있다.

연구진은 벼, 수수 등 몇몇 대표작물의 유전자를 편집해 전세계에 심는 것만으로도 매년 10억톤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유전자 조작 식물의 대규모 식재에 대해 실험실을 벗어났을 때 언제나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윤리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해당 연구의 총책임자 브래드 링가이젠(Brand Ringeisen)은 "기후변화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고, 단순히 화석연료 사용을 멈추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면서 "여기에 크리스퍼 기술이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우린 시도해볼 뿐이다"며 연구를 강행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식물의 광합성은 매우 방어적이고, 비효율적이다. 식물은 엽록체를 통해 햇빛을 받아들이고, 햇빛의 에너지를 활용해 물 분자로부터 전자를 분리해 낸다. 분리된 전자는 이산화탄소에 환원돼 포도당을 형성하고, 식물은 이를 양분 삼아 생장한다. 하지만 식물은 광합성으로 체내의 자원을 과도하게 소모하지 않기 위해 빛의 세기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광합성을 멈춰버린다.

연구진은 이 점에 착안해 광합성의 한계치를 관장하는 식물의 유전자를 조정해 효율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식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늘리려는 목표다. 식물종 가운데 유전자 연구가 가장 많이 진전된 '벼'가 실험 대상으로 선정됐다. 연구진은 크리스퍼 기술로 수백만개의 개별 벼 세포에 유전자 편집을 가하고, 그 가운데 광합성에 특화된 돌연변이 세포를 선별해 실제 식물로 길러낼 예정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전자 조작 벼는 기존 벼에 비해 30%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전망이다.

▲식물유전체변이 시설에서 유전자가 편집된 농작물의 묘종을 살펴보는 실험실 관리인 제시 존스(Jesse Jones) (사진=IGI)


이밖에도 연구진은 식물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땅속 깊은 곳으로 내려보내 대기중으로 누출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 뿌리를 갖춘 벼 품종에 대한 연구도 병행한다. 또 뿌리를 통해 다량의 '삼출물'을 분비하는 돌연변이들도 검출할 예정이다. 식물의 뿌리는 광합성으로 고정한 탄소성분의 5~21%를 '삼출물'이라는 점액질 상태의 성분으로 배출한다. 이는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토양내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켜 추가적인 탄소포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삼출물이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키면서 정확히 토양 내에서 어떤 작용이 이뤄지는지 명확히 밝혀내기가 어렵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실험실 조건이 아닌 실제 환경에 대입해보면 실제 이산화탄소가 얼마나 격리되는지 수치화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토양 내에는 다양한 층위의 미생물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과 배출하는 미생물이 산재해있다.

벼 품종의 연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IGI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주식인 '수수'로 연구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10년내 농민들이 실제 작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탄소포집기능 뿐 아니라 수확량 및 토양 비옥도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IGI 대외협력 책임자 멜린다 클레이그만(Melinda Kleigman)은 "신기술에 대한 반감으로 유전자변형작물(GMO)이 받아들여지기 힘들 수 있겠지만, 이대로 기후변화가 계속된다면 선택지를 고를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를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신한은행, 한국형 녹색채권 1000억원 발행..."녹색수송 사업에 투입"

신한은행은 22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1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했다.한국형 녹색채

"영농형 태양광, 활성화하려면 '농민·농업' 중심 정책 일관돼야"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려면 농민과 농업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단계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최근 정부는 농촌 인구소멸과 에너지

포스코이앤씨 감전사고 外근로자 8일만에 깨어나..."음식물도 섭취"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에서 감전을 당해 의식불명에 빠졌던 30대 미얀마인 근로자가 건강을 회복했다는 소식이다.21일 연합뉴스에 따르

기후/환경

+

폭염에 산불까지...美서부 축구장 1만5400개 '잿더미'

불볕더위가 극심하던 미국 캘리포니아와 오리건주에서 발생하던 산불이 몇 일째 번지면서 축구장 1만5400개 면적에 달하는 1만1000헥타르(ha)가 잿더미로

"생수·햇반·컵라면으로 살아요"...강릉 시민들, 물 부족에 아우성

서쪽지역은 최대 100mm의 폭우가 예보돼 있지만 강원도 강릉은 극심한 가뭄으로 물 부족 사태가 극에 달했다.지난 20일부터 계량기의 50%를 잠그는 제한

경기도, 퇴근길 폭우 대비 오후 6시 '비상1단계' 발령

퇴근길 폭우가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가 25일 오후 6시를 기해 '비상1단계'를 발령한다.경기도는 25일부터 26일 오전까지 경기 북부와 남동부 지역을 중

알프스는 녹고 해변은 사라지고...관광산업 종말 오나?

기후변화로 폭염과 산불 등이 빈번해지면서 80년 후 관광산업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지속가능한 교통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자인 스테

[날씨] 내일까지 중서부 '세찬 비'...가뭄 겪는 강릉은 '찔끔'

25일 인천과 서해안 지역에서 시작된 비는 중부지방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26일까지 이어지겠다. 서쪽과 중부지역은 매우 강하게 비가 내리겠지만 현재

3V 저전력으로 CO2 95% 포집 기술 '세계 최초' 개발

3볼트(V) 스마트폰 충전전압 수준의 저전력으로 95% 이상 고순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