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전어 아니라 여름전어?…지구온난화가 바꾼 밥상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8-17 15:13:35
  • -
  • +
  • 인쇄
해수 온도 상승하면서 어획 수산물 변화
2030년에는 '서해 꽃게' 먹기 어려울수도
▲ 전어

'가을전어 대가리에는 깨가 서말' 옛날부터 전어는 가을을 대표하는 생선으로 꼽혔다. 하지만 '가을전어'라는 말은 점점 옛말이 될 지경이다.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전어가 여름이 제철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유통업계,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최근 여름전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바다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난류성 어종인 전어의 어장이 일찍 형성되면서 여름에 전어가 많이 잡히고 있어서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68년~2011년까지 44년동안 우리나라 해역의 평균 표층 수온이 1.29℃, 동해 1.33℃, 특히 독도반경 35마일 해역에서는 1.34~1.9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세계 바다 수온이 100년동안 0.5℃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주변 수역이 온도는 매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바뀌면서 우리 식탁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정어리다. 정어리는 한때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선이었다. 1930년대 우리나라 총 어획량 200만톤(연근해 어업) 가운데 정어리 비중이 120여만톤(60%)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이제 정어리는 자취를 감췄다.
 
오징어, 고등어, 멸치 등 근해 난류성 어종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의 겨울철(1~3월) 분포 해역이 점차 북상해서 형성되고 있다. 오징어의 경우, 2월과 3월에 1970년대 중반보다 남해안으로부터 동해 중부 해역까지 60마일 이상 북쪽에 어장이 생겼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04년 이후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해구별 저인망어획조사에서 나타난 어종별 출현 양상과 해양환경자료를 분석한 결과, 동해 저층 냉수어종은 남해로, 동중국해 아열대 어종은 동해로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2004년 주로 동중국해와 제주도 주변에서 많이 어획되었던 '갈전갱이'를 비롯한 아열대 어종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표·중층의 수온상승으로 매년 서식해역이 북상하고 있다. 2009년 조사에서는 대한해협 부근 해역까지 서식지를 확장했다.

봄과 가을 서해안 지역으로 관광객을 유인하는 대표적은 수산물인 꽃게는 갈수록 구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서해 꽃게의 경우 2030년에는 주어장이 연평도 부근에서 더욱 북상한 북한 영해에서 형성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측은 "바다는 기후조절자, 식량자원의 제공처이지만 기후변화로 중대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수산업 변동 예측 연구 등으로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