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마지막 석탄발전소 폐쇄...2045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전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02 16:38:47
  • -
  • +
  • 인쇄
의회, 올연말까지 전력생산용 석탄금지법 승인
▲하와이 주도 호놀룰루 와이키키 해변. 호놀룰루가 위치한 호아우 섬은 하와이의 마지막 석탄발전소 AES발전소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사진=언스플래시)


하와이의 마지막 석탄발전소가 문을 닫았다.

하와이 주 정부는 마지막 남은 석탄발전소인 AES발전소를 폐쇄하고 204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20년 하와이 의회가 2022년말까지 전력생산용 석탄을 금지하는 법안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스콧 글렌(Scott Glenn) 하와이 에너지부 장관은 "하와이가 150년만에 석탄 사용을 끝냈다"고 밝혔다. AES발전소는 하와이 오아후섬에 위치한 화력발전소로, 1992년부터 가동돼 섬 전력의 20%를 생산해왔다. 동시에 매년 15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하와이의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이기도 하다. 

하와이는 과거부터 재생에너지 전환에 노력해왔다. 2015년 미국 최초로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이후 뉴욕은 2040년까지 배출제로전력을 지향하고 로드아일랜드는 2033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력을 목표하는 등 20여개 주와 워싱턴DC가 비슷한 목표를 세웠다.

최근 주 공무원들은 다양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24년까지 최소 14개의 태양열, 배터리, 지열 등의 프로젝트가 하와이에서 시작될 예정이다. 섀넌 탕고난(Shannon Tangonan) 하와이전기공사(Hawaiian Electric) 대변인은 대규모 태양광 및 배터리프로젝트가 성수기 동안 39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와이는 여전히 수입석유에 부분의존하고 있어 화석연료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탕고난 대변인은 오아후 석탄발전은 적어도 초기에는 부분 석유로 대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아후섬의 프로젝트 중 상당수가 발전소 폐쇄시기에 맞춰 가동될 예정이었으나 공급망 문제 및 비용 상승으로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석탄발전소 폐쇄로 오아후 거주민의 전기요금이 평균에서 약 7% 또는 15달러 인상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글렌 장관은 일부 석유발전소도 오아후에 위치한 와이아우발전소 일부를 포함해 앞으로 수 년 안에 폐쇄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재생에너지를 늘리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해외로 빠져나가는 자금도 줄 것으로 기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