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수' 친구가 사라진다…아델리펭귄 개체수 급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3 08:37:02
  • -
  • +
  • 인쇄
남극 동부연안 10년간 43% 감소
패스트아이스 등 환경변화가 원인

남극 연안의 아델리펭귄이 사라지고 있다.

11일(현지시간) 호주 남극부(Australian Antarctic Division)는 남극 동부연안에 서식하는 아델리 펭귄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남극 모슨연구기지(Mawson) 인근 52개 섬에서 번식하는 개체수가 10년 동안 43% 감소했다는 것이다.

생태학자들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해안선 100km 범위에 걸쳐 관찰한 결과 해당 펭귄의 둥지 수가 17만6622개에서 9만9946개로 감소, 즉 약 7만7000개의 둥지 또는 15만4000마리의 개체수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세는 지난 수십 년간의 추세에 이어 해당 개체군의 지속적인 증가를 예측했던 모델과 상반되며 연구진은 안정세나 증가세를 유지 중인 남극동부의 다른 아델리펭귄 개체군과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개체수 급감의 원인으로는 환경조건의 변화가 꼽혔다. 이번 연구의 주요저자인 루이스 에머슨(Louise Emmerson) 바닷새생태학자는 이번 급감추세가 어획 및 기후변화, 기타 인간활동의 영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남극반도의 아델리펭귄 감소추세와 유사하다고 짚었다.

콜린 사우스웰(Colin Southwell) 공동저자는 2004~2005년부터 2009~2010년까지 여름철 '패스트아이스(육지에 붙어있지만 바닷물을 덮고 있는 얼음)'가 광범위하게 발생하면서 펭귄이 감소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사실상 그 해에 살아남은 새끼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에머슨 박사에 따르면 새끼 아델리펭귄은 처음 부화 시 무게가 90g에 불과하며 소량의 먹이를 자주 먹어야 한다. 그러나 패스트아이스가 발생하면 사냥터인 바다와 서식지 간 거리가 멀어져 먹이를 자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부모펭귄들이 바다에서 먹이를 구하려면 패스트아이스를 가로질러 더 멀리 이동해야하고 그만큼 새끼들은 굶주리는 것이다. 이렇듯 열악한 번식환경 상태가 지속되면서 겨울철 군체를 떠나는 시기까지 살아남는 새끼 수도 줄어들기 시작했다. 여기에 에머슨 박사는 여름철 번식해 겨울철 군체를 떠나는 두 과정이 서로 맞물려 감소세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았다.

연구진은 현재 번식이 활발한 시기의 개체군이 2000년대 초 대비 8만 마리나 적은 것으로 추정했다. 남극 패스트아이스는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일부 지역은 오히려 증가하는 등 지역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인 영거(Jane Younger) 호주 태즈메이니아대학 해양남극연구소 강사는 갓 태어난 새끼들이 무리지어 먹이를 찾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때 무리가 작을수록 포식자에게 더 취약해지고 먹이를 찾을 확률도 떨어진다. 그는 이것이 "새끼의 개체수가 줄고 그만큼 더 취약해지는 일종의 연쇄반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글로벌체인지바이올로지(Global Change Biology)'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기후/환경

+

美 FDA "석유 기반 식용색소 퇴출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석유 기반 합성 식용색소를 단계적으로 퇴출한다고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마티 마카리 FDA 국장은 이날 회견에서 FDA가 업계와

덥다가 눈 내리는 '기온 반전'…온난화로 더 심해진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기묘한 봄날씨처럼, 만개한 봄꽃 위로 눈과 우박이 내리더니 곧바로 초여름 기온으로 건너뛰는 '기온 반전'(Temperature flip)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