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태풍영향에 조업일수도 줄어
쌀쌀해진 가을 바람에 제철생선인 전어가 생각난 A씨는 들뜬 기분으로 횟집을 찾았다가 당황했다. 사장이 난처한 얼굴로 '전어가 끝났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10월 중순에 전어철이 끝났다니, 가을 전어는 어디로 사라진 걸까?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만든다는 전어철이지만 '가을전어' 구경도 힘든 상황이다.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금전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노량진 수산시장에 따르면 2021년 9월 전어 경매가는 1㎏ 당 평균 1만3500원이었는데 올해 같은 기간 경매가는 1㎏ 당 평균 2만3900원으로 2배 가까이 뛰었다. '가을전어 대가리에는 깨가 서말'이라는데 그마저도 부족한 판이다.
어획량 급감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어장 변화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바다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난류성 어종인 전어의 어장이 빨리 형성돼 가을에 나오던 전어 조업 시기가 여름으로 당겨졌다. 지난 여름 어획량이 급증하면서 8월 전어 값이 폭락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68년부터 2011년까지 44년간 우리나라 해역의 평균 표층 수온이 1.29℃, 동해 1.3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세계 수온이 100년간 0.5℃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주변 수역이 온도는 매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 올해는 가뭄으로 인해 민물 유입이 줄어들고 태풍의 영향으로 조업일 수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박진성(57) 씨는 "전어철이면 고향에서 전어를 구해 오는데 10월 중순밖에 안됐는데도 전어가 없다고 한다"며 "20~30년 전만 해도 11월까지 잡혔는데 전어를 찾아온 손님들을 돌려보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